내용 |
독립법인 방재과학기술연구소가 발행하는 ' 방재과연뉴스 ' 의 2008 년도 여름호에 기재된 ' 특집 방재과학기술로 개발도상국에 공헌 ' 에 대한 요약이다 . ○아시아·태평양의 지진관측협력 - 지진감시능력의 향상과 발생 메커니즘의 해명을 목표로 - - 인도네시아의 지진관측 2004 년 12 월의 지진 이후로 인도네시아 정부는 독일 , 중국 , 일본의 원조를 받고 지진관측망의 정비를 시작했다 . 일본은 인도네시아 기상지구물리청과 합동으로 15 곳의 관측점의 위성 텔레미터화를 실시했다 . 올해 11 월 11 일 인도네시아 쓰나미조기경보 시스템 완성일까지 합계 160 곳의 지진관측점이 정비될 예정이다 . 또한 자동진원 해석프로그램도 인도네시아 기상지구물리청에 가동될 것이다 . - 통가 , 피지 , 미얀마 통가와 피지에 지진관측·감시능력 향상을 위한 JICA 기술협력 프로젝트에 참가했다 . 또한 미얀마에서도 강진관측망의 정비와 데이터 분석 기술지도를 했다 . ○남미에 퍼지는 일본 화산감시기술과 협력 -JICA 프로젝트를 통한 개발도상국의 화산재해감축의 대처 - 에콰도르와의 협력 일본은 에콰도르에 화산 감시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국립이공과대학 지구물리연구소의 협력으로 통구라후아화산에 관측기재를 설치하고 2006 년 8 월에 분화전의 시그널을 포착하여 경계경보를 보내고 위험지역의 3~4 천명의 주민이 피난했다 . - 콜롬비아 , 칠레의 화산연구원에게 화산감시능력 향상을 위한 활동을 시작하고 있다 . ○벽돌로 지은 건물의 내진실험 - 개발도상국에 내진건물의 보급을 목표로 - - 건축연구소 , 정책연구대학원대학 , 미에대학과 함꼐 2006 년도부터 과학기술진흥 조정비연구 ' 지진방재에 관한 네트워크형 공동연구 ' 에서 개발도상국의 내진건물의 보급향상 연구를 실시했다 . 내진 보급을 위해 내진을 고려하지 않은 건물을 진동대에 놓고 강 진동 을 시켜 붕괴하는 양상을 보았다 . 이 시험결과 비디오를 파키스탄 등의 나라에 보낼 예정이다 . ○아시아 방재과학기술 정보기반 (DRH 아시아 ) 의 구축 - 도움이 되는 방재과학기술의 데이터베이스를 목표로 - -DRH 프로젝트의 키워드는 ' 현장의 적용전략을 가지는 방재기술 ' 이다 . 여기에 DRH 아시아 프로젝트는 아시아 지역특성을 기본으로 한 방재 과학기술을 데이터 베이스로 수록하여 이것을 활용하는 웹시스템 ' 아시아 방재과학기술정보기반 (DRH 아시아 )' 를 구축하고 그 국제적 활용을 추진하는 것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8 개국과 국연국제방재전략 (ISDR) 과의 공동연구이다 . ○ JICA 집단연수의 국제공헌 -30 년간의 역사를 되돌아 본다 - -1977 년부터 실시한 ' 방재기술세미나 ' 는 1996 년까지 42 개국의 194 명이 참가했다 . 1999 년부터 실시한 ' 자연재해방재연구 ' 코스는 13 개국에서 27 명의 연수생이 참가했다 . -JICA 집단연수의 성과로는 에콰도르의 화산재해감소의 협력 ,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 국제지진관측의 협력 , 알제리의 내진실험시설 건설 등이 있다 . -JICA 집단연수를 통해서 일본의 방재 연구개발의 지식을 많은 나라와 공유하여 국제적 공헌을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