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고도의 지리공간정보 사회실현 계획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9-01 00:00:00.000
내용 1. 최근의 사회 정세 변화 ○ 해양기본법 제정과 기본계획의 각의 결정 ○ 우주기본법 제정 ○ 지리 공간 정보 활용 추진 기본법의 제정과 기본계획의 각의 결정 ○ 국토 형성 계획의 각의 결정 ○ 경제 글로벌화 ○ 사회자본 정비 중점 계획의 책정 ○ 인구 감소·저출산 고령화 사회 ○ 측량법 개정 2. 중점 항목 가. 국토의 관리, 위기 관리, 재해 대응 등을 통한 안전·안심 사회 만들기 ① 전자지도상에서의 위치 기준이 되는 기반 지도 정보 등의 정비와 제공 ② 국토 관리에 불가결한 국토의 기초적 정보 정비 ③ 안전·안심 확보를 위해 지리공간정보 신속 제공 나. 국민 생활의 향상, 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리공간정보의 활용 추진 ① 지리공간정보 활용을 가속하는 구조 정비 ② 지리공간정보 활용을 추진하기 위한 기술 연구 개발과 그 보급 다. 기술력을 살린 국제 공헌 추진 ① 국제 협동을 선도적으로 추진 ② 지리 공간 정보의 국제 표준화 3. 2009년 주요사업 (100엔=1025.53원, 2008년 9월1일) 가. 국토 관리, 위기 관리, 재해 대응 등을 통한 안전·안심 사회 만들기 ○ 전자 지도상에서의 위치 기준이 되는 기반 지도 정보 등의 정비와 제공 - 기반 지도 정보 정비(2,068백만엔) : 2008년 4월에 각의 결정된 '지리공간정보 활용 추진 기본계획'을 근거로 해 정부, 지방공공단체 등 여러 정비 주체가 작성한 대축척지도 데이터를 집약·통일화하고, 도로, 건물 등 의 기반 지도 정보를 효율적으로 정비함과 동시에, 그 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축 ○ 국토 관리에 불가결한 국토의 기초적 정보 정비 - 국토 지형 기반 정비(311백만엔) : 새로운 디지털의 기본지도 데이터로서 국토 관리나 재해 대응에 불가결한 식생, 구조물 등의 지형 정보를 위치 기준인 도로, 건물 등의 기반 지도 정보에 부합하도록 정비 - 전자 기준점 측량(1,139백만엔) : 전국에 설치된 전자 기준점에 의해 GPS 연속 관측을 지속적으로 실시함과 동시에, GPS 위성이 사용하는 주파수대의 향후 변경에도 대응하도록 전자 기준점의 계획적인 갱신 등 실시 - 인공위성 화상에 의한 지도 정보 정비(40백만엔) : 항공기를 이용한 공중 사진 촬영이 곤란한 지역은 인공위성 화상을 이용해 지도 정보 정비 나. 국민 생활의 향상, 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리공간정보 활용 추진 ○ 지리공간정보 활용을 가속하는 구조 정비 - 기반지도정보 활용 촉진(20백만엔) : 기반 지도 정보의 효율적인 정비·갱신·제공을 도모하기 위해, 지역에서의 산학관 관계자 등과 제휴한 검토위원회 개최, 기반 지도 정보의 상호 활용을 위한 체제나 구조를 구축 - 지리공간정보의 제공·유통에 관한 가이드 라인 작성(60백만엔) : 지리 공간 정보의 원활한 제공·유통을 도모하기 위해, 개인정보 보호나 데이터의 2차 이용 등의 지적재산권 취급에서의 가이드 라인 및 국가안전의 관점으로부터 배려해야 할 사항에 관한 조사·검토 실시 다. 기술력을 살린 국제 공헌 추진 ○ 국제 협동 선도적 추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지각변동 감시경비(21백만엔) :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우주 측지 기술 등을 활용한 지각변동 감시 체제를 관계 각 국과 협력에 의해 구축하여, 플레이트(지구표면의 두꺼운 암반) 운동, 지진·화산 분화 등에 따르는 지각변동을 파악. 또, 관계 각 국이 취득한 관측 데이터의 통합적인 수집·관리를 실시해, 방재 정보로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각 국에 환원함과 동시에, 공통된 위치 정보 기반의 기초가 되는 기준 좌표계 확립에 공헌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229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