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역사상 대단한 연구의 결과와 중대한 사회 프로그램과 혁신적인 의학 연구....이들 뒤에는 항상 정부 지원금, 혹은 자원자들의 지원금 이라는 재정적인 지원이 있었다. 미켈란젤로와 레오나르도 다빈치 그리고 모차르트에 이르기까지 무에서 유를 창조하기 위한 과정과 결과 뒤에는 항상 재정적인 지원이 뒷받침이 되었던 것이다. Jonas Salk의 소아마비 백신의 발견은 대중들의 지원금과 소아마비 국제 기금 모금 단체로부터의 재정적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보여진다. 1923년 George Papanicolaou는 처음으로 자궁 경부 세포의 자궁 경부암을 탐지하는 법을 개발했다. 초기에 많은 병리학자들은 이 이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George Papanicolaou는 훗날 이렇게 기록했다: “나는 완전히 나의 연구와 수많은 실적들을 나 스스로의 재정적 능력으로 뒷받침 해야만 했다. 희망이 사라졌을때, 비로소 그제서야 Commonwealth Fund가 도울 의사를 밝혀왔다.” 기금 자선단체들은 서구 사회에서는 매우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 있다. 1601년, 앵글로 아메리칸의 자선단체 법의 초석이라 불리는 법안 통과되었다. 같은 해, 영국 의회는 가난한 이들을 위한 Elizabethan Poor Law을 통과시켰다. IRS(United States Internal Revenue Service, 미국 국세청)는 기금을 두가지로 분류한다. 개인과 가족, 회사 등에 의한 기부인 Private foundations와 Public charities 혹은 community foundations라 불리는 비영리 단체가 모금한 기금이다. 공적 기금은 사용에 있어 사적 기금보다 제약이 덜하고 세금의 혜택 또한 받을 수 있다. 이들 가운데 연구자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금의 형태 또한 다양하다. 특정 연구 분야 혹은 프로그램 개발의 지원금이나 협동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장학금 형태의 기금 지원 등 매우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동문 기금의 경우에는 대학 졸업자나 혹은 대학원생들에게 단기간 동안 연구 경험을 쌓게 하는 의도로 지급되는 경우가 있다. 모든 기금들은 기금을 지원할 때 필요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다. 지역의 한정 , 연구 분야의 한정 등 원인은 다양할 것이다. 최근 들어 연구 단체들이 점점 늘어나고, 동시에 재정 지원을 필요로 하는 단체들도 늘어나면서 미국에만 약 6000억 달러의 기금들이 조성되어 있다. 이 기금들은 학술 단체와 기관, 그리고 연구자 개개인에게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점점 더 많은 인구가 더 높은 교육을 받고 있다. OECD의 조사에 따르면 대학을 졸업한 학력, 그 이상을 가진 인구가 약 40퍼센트의 비율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더 높은 교육을 받은 인구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연구원의 수도 그만큼의 비율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 기관들과 학술 단체들이 겪는 문제점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경쟁은 더 치열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인도, 중국, 그리고 제 3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점차 더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투자를 하고 있다. 이는 점점 똑똑한 학생들을 매우 경쟁적인 시장으로 내몰게 되는 것으로, 이들은 점점 미국의 대학원, 연구 기관으로 몰려들고 있다. 동시에 인도와 중국, 그리고 일본의 대학원, 학술 연구 단체의 연구원 수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연구원들은 점점 더 최신의 정보와 기술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몇몇 국가에서는 어려울 수도 있는 요구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금 모음과 지원의 방법이 점차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 가장 뚜렷한 변화는 대학들간의 협력을 통한 발전이다. 이를 통해 대학들간의 격차를 줄이고, 협력을 통해 함께 발전해 나가며, 새로운 방안을 함께 모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하나 중요한 지원은 최신의 정보를 지원하는 것이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정보의 격차는 이미 벌어질 대로 벌어져 정보의 공유에 있어서도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을 따라잡을 수 없는 상황에 이를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많은 연구 단체, 학술 기관에서는 최신 정보를 공유하고 낮은 가격, 혹은 무료로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적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956년에 설립된 Foundation Center [http://foundationcenter.org]는 약 600개의 모금단체로부터 지원을 받아 미국 내 가장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5개의 지역별 도서관과 학습 센터를 건립하여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미국, 푸에르토리코, 한국의 약 400여곳의 비영리 단체와 기관, 정보 센터에 국제적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