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원자력기술의 국제전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2-03 00:00:00.000
내용 ○ 일본 원자력발전 기술의 우위성 1. 원자력 산업에 축적된 경험, 노하우 -지속적인 건설ㆍ운전ㆍ보수 경험 -오랜 기간의 기초 연구, 기술 개발에 지지되고 있음. 2. 높은 기술(고품질, 고신뢰성, 고성능)을 보유한 3000개 이상 회사의 공급 체제 -압력 용기, 습기 발생기부터 배관 등에 이르기까지의 제조 능력 -시스템화 된 계장ㆍ제어 설비 3. 비핵보유국으로서의 핵 비확산 기술과 경험 ○ 원자력 국제전개의 의의 1. 일본 원자력ㆍ산업기술력의 유지ㆍ발전 2030년경의 현유설비 재배치 수요에 대비해, 기술 유지ㆍ향상 2. 경제성장 전략의 핵심 원자로 1기 5000억엔 정도, 2030년까지 세계 전체에서 100조엔 규모의 시장 3. 국제 공헌 -이산화탄소 삭감에 의한 지구온난화 대책에의 공헌 -화석자원 가격 폭등, 에너지 수급 압박 경향 아래에서 에너지 안정공급에 기여 -신규 도상국(특히 개발도상국 등)의 경제 성장, 생활 수준 향상에 기여 ○ 일본 원자력 산업의 현상 -주요 원자력 기기의 수출 실적 존재, 향후도 유망함 -원자력 플랜트 전체로서의 수출 경험은 없음 -일본 3대 제조사는 세계 주요 원자력발전 플랜트 제조사. 미국 시장에 참가(계약 완료 및 교섭 중) ○ 신규 도입국에 대한 대응 -신규 도입국에서는 사업타당성 분석(FS; Feasibility Study), 건설, 운전, 보수에 관해 기술 제공뿐만 아니라 인재 육성, 자금, 연료공급 등을 한 묶음으로서 협력 요청해 오는 경향. -국제 시장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관민 일체가 된 체제를 정비할 필요가 있음. ○ 과제 1. 민간 체제 구축(전력, 제조사 등) -협력의 원스톱 서비스(One-stop Service), 통합화된 수출 체제 2. 국가에 의한 조건 정비 -두 나라 사이의 원자력 협정 조기 체결 -재정적 지원 3. 국가의 주도와 부처 연계 -상대국의 도입 단계에 따른 국가의 협력 표명 -장관, 수상 등 대표격 인사가 앞장선 판매 -산학관 연계, 국제기관 활용 주도 -인재 양성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03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