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국제협력 통해 연구소 개혁심화-베이징과기연구소와 독일 프라운호퍼 응용연구소간의 국제협력 사례 ○ 출처: 2011-10-28 《과학망》 ○ 원문: http://news.sciencenet.cn/sbhtmlnews/2011/10/250234.shtm?id=250234 ○ 배경 - lsquo;베이징 과학기술연구소(이하 lsquo;베이징과기연 rsquo;) rsquo;는 중국 최대의 지방 연구소로서 다년간 과감한 혁신과 연구, 탐색 활동으로 과학기술 체제 개혁을 심화하고 하이테크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최근, 베이징과기연은 국제협력의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한 결과 독일 프라운호퍼 응용연구촉진협회와의 국제 협력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 내용 1. 첫 협력에서부터 협력 심화 단계에 접어들기까지 (1) 협력의 시초 - 마리 박사는 독일 프라운호퍼협회 국제사무발전팀 동아시아지역 주임으로서 2002년 처음으로 베이징과기연의 딩후이(丁輝) 박사와 대면하여, 양 기관간의 협력을 성사시켰다. - 딩후이 박사도 프라운호퍼 연구소를 방문하여 해당 연구소의 본사 현황, 자금운영 모델, 협회 과학연구 관리시스템, 혁신시스템 등을 깊이 이해했다. - 그 후, 딩후이 박사는 프라운호퍼 연구소의 모델이 베이징과기연이 도입, 학습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겼고, 양 기관은 협력을 시작하게 되었다. (2) 협력의 과정 - 2007년부터 딩레이 박사는 5년 연속 프라운호퍼 협회를 방문했고, 매번 방문하기 전에 베이징과기연은 사전에 몇 가지 주제를 마련함으로써 방문기간에 해당 연구원들과 심도있는 학문적 교류를 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양기관은 lsquo;환발해지역 혁신체계 건설 rsquo;, lsquo;양모제품 모사제품 감별 rsquo;, lsquo;DNA검사기술 응용 rsquo;, lsquo;중국-독일 기술이전 교류협력 플랫폼 rsquo; 등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에서 중대한 성과를 거두었다. - 2009년 11월, 양측은 베이징에서, 그리고 2011년 4월에는 독일에서 정기적인 모임을 가졌고 양 기관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3) 협력 사례 - lsquo;환발해지역 혁신시스템구축 rsquo; 연구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양측은 각자의 우위를 충분히 발휘하였다. - 예컨대, 프라운호퍼협회는 혁신연구의 방법론과 이론적 방면에서 노하우를 제공했고 베이징과기연은 환발해 지역의 현실적 상황에 대해서 비교적 잘 알고 있다는 장점을 내세웠다. 2. 세 개의 1/3 (1)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자금운영 방면에서 세 가지 메커니즘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세 가지 메커니즘은 세 가지 수입모델을 형성했다. ① 세 가지 자금운영 메커니즘 - 첫째, 정부 지원 - 둘째, 과학기관-과학자-업계간의 교류 및 경쟁메커니즘 - 셋째, 시장 성과전환 메커니즘 ② 세 가지 수입모델 - 첫번째 1/3은 정부 재정예산으로 충당한다. - 두번째 1/3은 경쟁성 프로젝트를 통해 충당한다. - 세번째 1/3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형성한 제품의 직간접 시장성 성과(예를 들면 인재나 산업산출물 수출 등)를 통해 충당한다. (2) lsquo;세 개의 1/3 rsquo; 메커니즘의 의의 - lsquo;세 개의 1/3 rsquo;은 프라운호퍼협회 자체의 산업운영모델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자금운영 모델로서 베이징과기연과 프라운호퍼 연구소간의 협력과정에서 얻은 최대의 수확이라고 할 수 있다. (3) 베이징과기연에의 접목 과정 - 베이징과기연은 이러한 lsquo;1/3 rsquo; 메커니즘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각종 어려움에 직면했다. - 예컨대, 중국의 기존 과학기술 관리체제나 과학기술 법규 등이 이러한 모델의 성장을 지원해 줄 수 있을 지의 여부, 그리고 중국과 독일 기업의 운영모델이 달라서 베이징과기연이 어떻게 기업의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지에 대한 불확실성 등 여러가지 면이 어려웠다. 3. 다원화된 방식으로 인재 육성 4. 향후 협력에 대한 자신감 5. 개혁 심화의 선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