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국-환태평양 지역을 잇는 세계 첫 100Gbps 초고속 연구망 개통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6-07-24 00:00:00.000
내용 작년 (2015년) 10월 퍼시픽 웨이브 프로젝트에서는 세계최초로 미국과 아시아를 잇는 환태평양지역 100Gbps 초고속 연구용 넷트웍망이 개통됐음을 발표했다. 이제까지 사용 돼 왔던 10Gbps 네트웍에서 업그레이드 된 것으로, 앞으로 많은분야에서의 국제협력 연구 생산성 증가가 기대된다. 퍼시픽 웨이브는 3티어로 이루어진 연구망이며,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서 지원하는 IRNC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Connections)과 미국, 일본간의 TransPAC4 등, 미국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연구망은 물론, 미국내 여러 대학을 고속연구망으로 엮은 Science DMZ 프로젝트 등을 같이 연결한다. 주요 연결 포인트들을 요약하면: 미국 시애틀과 일본 동경을 잇는 100Gbp 속도의 과학기술 연구만을 위한 연구망으로써, 시애틀과 동경에 Brocade MLX 라우터를 설치, 두 대륙을 100Gbps 로 연결한다 동경에서부터는 기존의 WIDE/T-REX/T-LEX 연구망과 연결되며, 새로이 시나가와주에 설치된 퍼시픽 웨이브 노드와도 연결된다. 미국쪽에서의 연결은 시애틀에서 로스 엔젤레스, 시카고, 서니데일 등에 설치된 라우터로 기존 연구망 백본(back-bone)들과 연결되고, 각 허브에서 기존에 설치된 인터넷2, StarLight, ESNet 등에 연결된다. 퍼시픽 웨이브 이전에 설치되어있던 10Gbps 연구망들은: 미국-일본의 TransPAC 미국-한국의 KREONET 미국-중국의 CERNET, GLORIAD (한국도 회원국이다), CSTNET 미국-유럽의 GEANT(독일/유럽), SURFnet(네덜란드), NORDUNet(북유럽), IANET(영국), USLHCNet(CERN) 들이 있다. 기존 10Gbps 연구망들의 사용이 줄지는 않겠지만, 새로운 100Gbps 연구망 설치는 상당히 고무적이며, 앞으로 과학기술 연구분야에서 국제협력의 증진이 기대된다. (퍼시픽 웨이브는 Pacific Wave Gigpop (PNWGP) 과 CENIC (the Corporation for Education Network Initiative in California) 의 조인트 프로젝트이며, 미국 국립과학재단이 지원한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600040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초고속 연구망, 환태평양 2. R D Network, 100Gbps, Science DM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