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중국 정부의 지원 아래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 산업은 2003 년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 산업 사업의 시범 개최를 필두로 2004 년에는 환경 보호 기술 서비스 산업 2005 년 이후에는 6 대 분야 - 전자 정보 , 바이오 의약 , 신재료 , 광전기 일체화 , 자원 및 환경 , 신에너지 및 고효율 에너지 - 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 발전되어 나가고 있다 . 중국 정부의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업 발전으로의 모색을 꾀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 . 1.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업 발전을 통한 관련 하이테크놀로지 기술 산업의 공동 발전 . 2.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업 발전의 과학 기술 서비스 시장으로의 도입 . 3. 하이테크놀로지가 서비스 발전을 통한 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은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업 신청 건수의 통계를 통해 살펴볼 때 더욱 극명해진다 . 2005-2009 년 집계된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업 신청 건수는 522 건으로 그 중 입안 된 사업은 218 건으로 총 사업의 41.76% 를 점유하고 있다 . 최근 몇 년 간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업 신청 수치 추세를 정리하면 2006 년 창신기금 신청 수는 상반년에 비해 증가했지만 2008 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다소 감소했다가 2009 년 중국 정부의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업에 대한 자금 지원 강화와 기업의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업에 대한 인식이 강화로 인해 ndash; 이 기간 동안 총 6425 만 위안이 지원됨 - 다시 상승 반전했다 .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업의 각 분야별 투자액을 살펴보면 전자 정보기술 서비스가 가장 높아 4765 만 위안에 달했고 신재료 기술 서비스업이 가장 저조해 960 만 위안에 그쳤다 . 하이테크놀로지 서비스업의 각 지역별 신청량을 살펴보면 징진비 , 장삼각 그리고 주삼각 지역의 신청량이 349 건으로 전국 신청량의 66.86% 에 달했고 그 중 입안 총 수는 152 건으로 전국 입안 총 수의 69.72% 에 달했다 . 본 3 지역에 대한 업종별 신청 분포를 살펴보면 우선 정보 기술 분야의 경우 장삼각 지역에서의 신청이 징진비 지역보다 대략 47% 높았고 바이오 의약 분야의 경우 장삼각 및 기타 지역에서의 집중도가 높았으며 신재료 분야에서는 장삼각 및 징진비 지역 신청이 높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