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서문 도서관, 아카이브, 기관의 기록물 보관자, 기억을 보존하는 비영리 기관들은 세계의 문화, 역사, 과학 기록의 많은 부분에 대한 관리인 역할을 한다. 메모리 보존에 전념하는 전문가들은 많은 독특한 기능을 수행하고, 때로는 대규모 기관 안에서 활동하지만 공동의 목적과 과제를 공유하곤 한다. 이 문서에서 우리는 그들을 한꺼번에 ` 메모리 기관 전문가( memory institution professionals)` 라고 칭할 것이다. 이 전문가들의 개별적 목표는 그 기관들의 공유된 임무에서 파생한다. 출간되지 않은 문서, 잠깐 쓰고 버리는 것, 기타 고유한 저작물로 주로 구성된 1차적 정보원의 보고를 보존하는 것과 연구, 학문, 지식의 발전을 위해 그 자료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 그 임무의 핵심적 특징이다. 이러한 정보원이 안전하게 보관되거나 널리 사용되어야, 이러한 컬렉션에 담겨있는 지식에 대한 연구자 및 광범위한 대중의 이해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사회적 관심이 충족될 수 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에게 그들의 혜택을 제공하는 기회를 만드는 방식으로 그들의 컬렉션들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기회를 메모리 기관에 제공한다. 이런 방법에 따라 (대규모의 연구 도서관에서부터 작은 전문 아카이브에 이르기까지) 메모리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는 조직의 기관 목표도 발전한다. 메모리 기관들이 유지하는 일부 컬렉션은 저작권이 몇 가지 실질적인 문제를 제시할 만큼 오래된 저작물로 주로 구성되어있다. 다른 컬렉션은 상당히 동질적이거나, 하나의 특정 자료와 밀접하게 관련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것을 디지털화하거나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진행하기 전에 권리사항을 명확히 정리하는 것이 찾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다수의 컬렉션은 그러한 동질성이 미약하며, 여러 자료에서 가져온 저작물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많은 컬렉션이 수많은 ` 고아` 저작물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사용을 허락할 수 있는 적극적인 권리보유자와 결합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것을 말한다. 일부 권리보유자들은 폐업된 기업체였을지도 모른다. 어떤 권리보유자들은 한 때 소재지가 있었을 수도 있지만, 지금은 찾기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되었다. 일부는 저작권을 염두에 두고 저작물들을 만들지 않았던 것 같으며, 따라서 그 사항을 문의할 수 있게 만들어 놓지를 않았다. 이 문서는 공정 이용 원칙이 그러한 컬렉션을 다루는 저작권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그것은 전문가들의 전문성에 근거하여 도서관, 아카이브, 박물관, 기타 메모리 기관이 상당수의 고아 저작물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난 컬렉션에 관한 처리를 할 수 있는 방법에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