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대장균 호흡 효소 연구로 새로운 항생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6-05-06 00:00:00.000
내용 대장균이 살고 있는 위장관 내에는 시토크롬 산화효소 활동을 억제하여, 미토콘드리아 호흡을 약화시키는 황화수소가 분비된다. 이런 조건에서 대장균이 어떤 효소를 사용하여 호흡하는가 하는 것은 오랜 동안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었다. 모스크바 국립대 과학자들과 국제 과학자 팀이 대장균의 호흡에 인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특정 효소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발견으로 새로운 약효 높은 항생제를 개발할 전망이 열리게 되었다. 이 연구에 대한 논문은 Scientific Reports지에 게재되었다. 대장균은 시토크롬 bo 산화효소 (사람이 가진 시토크롬 c 산화효소에 해당)과 이와 완전히 다른 시토크롬 bd효소를 갖고 있다. 과학자들은 황화수소가 하나의 산화효소만을 (bd-I, bd-II 또는 bo) 보유하고 있는 대장균 성장에 미치는 지를 조사한 결과, 시토크롬 bd (bd-I 및 bd-II) 산화효소가 황화수소의 억제 작용에 대해 더 내성이 강하며 이 효소가 대장균의 호흡에 관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발견으로 장내 미생물 종류를 조절하여 유해 박테리아에 공급되는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의 전망된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60001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대장균 박테리아, 시토크롬 산화효소 2. E. coli bacteria, cytochrome oxid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