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MIE(Mendeley 기관 에디션), 아시아 태평양 지역까지 이용자 기반 확대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2-12-11 00:00:00.000
내용 웹 기반의 연구 분석 대시보드이자 소셜 협력 플랫폼인 MIE(Mendeley Institutional Edition: Mendeley 기관 버전)가 아시아태평양까지 서비스 시장을 확대하여, 노팅엄대학교의 말레이시아 캠퍼스에 출시되었다. 영국 노팅엄대학교의 명망 있는 해외캠퍼스인 말레이시아캠퍼스는 이로써 한국의 KAIST, 일본의 AFFRC를 포함하는 지역 내의 다른 기관들과 마찬가지로 Mendeley 기관 버전을 사용하게 되었다. 노팅엄대학교 말레이시아캠퍼스 도서관은 해외 여러 나라에서 온 국제적인 학생들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그들은 연구를 진행하고 관리하기 위한 융통성 있는 툴을 이용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모든 도서관들은 MIE가 그들의 기관에서 흩어져있는 모든 연구자들에게 Mendeley의 최종 이용자 플랫폼의 프리미엄 버전을 시작할 수 있게 서명했다. MIE의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은 캠퍼스의 최종이용자(end-user)들이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연구하고 협력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는데, 이는 대학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노팅엄대학교 말레이시아 캠퍼스 도서관의 상급 사서인 Khan Quay Kin은 'Mendeley Institutional Edition은 우리 연구자들이 그들의 자원, 데이터베이스, 저널 인용을 언제 어디서든 연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완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이것은 서로 다른 플랫폼과 브라우저 환경 속에서 다양한 도구들을 통한 접근을 지원한다. 또한 사용이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데다가 웹 반입 기능(web importer feature)은 몇 초 내에 참고문헌의 인용사항을 얻을 수 있게 해 준다.'라고 말했다. 도서관의 관점에서 보자면, 끊임없이 이 가지각색의 그룹 사이에서 리딩 및 출판 트랜드의 정보를 얻어내는 것은 거대한 보너스와도 같다. 이 도구에 의해 제공되는 통찰력 및 식견은 그들의 기관 및 최종 이용자의 변화되는 요구에 맞춰 도서관의 정보원들을 어떻게 정제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연구 워크플로우 내에서 도서관이 좀 더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이행 단계 동안, 스웨츠와 Mendeley는 비록 하버드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도서관에 커스터마이징된 이 기관 고유의 인용 스타일을 심어줄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고객들을 위한 시스템의 융통성을 다시금 분명히 나타내고 있다. 스웨츠의 CCO(Chief Commercial Officer)인 Debbie Dore는 '우리는 노팅험대학교 말레이시아캠퍼스가 그들 도서관 서비스에서 Mendeley의 기관 에디션을 추가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플랫폼을 국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특징과 플랫폼 내의 데이터가 고유하다는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이것은 그들 지역뿐만 아니라 모든 기관을 위해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분명한 예시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더 많은 기관이 플랫폼을 적용함에 따라 이와 같은 집적시스템의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21201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멘델리;서지관리도구;참고문헌관리;스웨츠 2. Mendeley;Swets;University of Nottingham;University of Nottingham Malaysia Camp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