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제3차 생물다양성 국가전략 개요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9830;생명과 삶을 지탱해 주는 생물다양성 ① 모든 생명의 존립기반: 산소 공급, 풍부한 토양 형성 등 ② 장래를 포함한 유용한 가치: 음식, 목재, 의약품, 품종개량, 미해석 유전정보 등 ③ 풍부한 문화의 근원: 지역색 강한 문화와 풍토, 모든 생명을 사랑하는 자연관 등 ④ 생활의 안전성: 재해경감, 음식 안전성 확보 등 【과제】 #9830; 제1 위기: 개발과 남획에 의한 생물종의 감소·멸종, 생식·생육지의 감소 #9830; 제2 위기: 시골촌락 등 일손부족으로 인한 자연의 질적 변화 #9830; 제3 위기: 외래품종 등의 유입으로 인한 생태계 혼란 →지구온난화로 의한 위기 ·많은 생물 멸종과 생태계 붕괴 【장기적 시점】 #9830; 100년 앞을 내다보는 그랜드 디자인: 생물다양성 관점에서 국토의 그랜드 디자인과 국토 생태계를 100년에 걸쳐 회복시키는 「100년 계획」제시 【다양한 주체의 참여】 #9830; 지방·민간 참여: 지역 활동과 연계하기 위해 지방과 기업의 대처 필요성 강조 4 대 기본전략 1. 생물다양성을 사회에 침투시킨다. ① 지방·기업·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국민 참여를 도모하는 「풍요로운 생명 프로젝트」 전개 ② 방과후 자연체험학습과 「오감으로 느끼는」 야외체험 2. 지방의 사람과 자연 관계를 재구축한다. ①「미래에 물려주고 싶은 중요 시골촌락」의 선정과 공유자원으로서의 관리모델 구축 ② 금수류와 생활이 분리되는 지역조성과 담당자 육성 ③ 생물다양성 보전에 공헌하는 농림수산업 추진 ④ 희소 동식물의 생식이 가능한 공간 조성과 외래품종 방제 3. 숲·촌락·강·바다의 유대를 확보한다. ① 국토 차원의 생태계 네트워크 구현 ② 「국립·국정공원 총점검」과 자연재생 추진 ③ 어업과 양립하는 해역보호구 상태검토 4. 지구차원의 관점으로 행동한다. ① 생물다양성조약 COP10(Conference of Parties 10)의 유치실현 ② 일본「생물다양성종합평가」실시 ③ 자연공생모델을 세계로 발신 ④ 생물다양성의 관점에서 온난화 완화책과 적응책 검토(삼림, 습원 보전, 생태계 네트워크형성 상태 등) 농림수산성 생물다양성전략 개요(삼림 ·임업 관계) 1. 기본적 생각 사회구조변화 등에 수반된 농어촌 과소화, 농림수산업 정체에 수반된 인위적 작업의 감소로, 동식물 감소·멸종이 우려된다. 귀중한 동식물을 가진 자연환경의 보전, 관리가 필요하다. 삼림, 임업에서는 간척의 낙후 등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생물다양성 보전을 포함한 삼림의 다면적 기능발휘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그 추진이 중요하다. 또한, 원생적인 천연림 등의 삼림 보전, 관리가 모두 중요하다. 2. 삼림, 임업분야에서의 생물다양성 보전 대처 (1) 다양한 삼림조성 추진 (2) 삼림의 적절한 보전, 관리 추진 (3) 야생 금수류로 인한 삼림피해대책 추진 (4) 담당자 확보, 육성과 산촌지역 자원활용을 통한 도시와 산촌과의 교류, 정착 촉진 (5) 작업현장에서의 생물다양성 배려 (6) 국민참여 삼림조성과 삼림의 다양한 이용 추진 (7) 삼림환경교육, 삼림과의 소통 충실 (8) 국산자재 이용확대를 기본으로 한 임업, 목재산업 발전 (9) 「보호림」과 「녹색 회랑」를 비롯한 국유임야 보전, 관리 추진 (10) 삼림자원의 모니터링 추진 (11) 세계의 지속 가능한 삼림경영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