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영국 정부R D투자 우선순위 설정 방안 제언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5-03 00:00:00.000
내용 영국 상원 과학기술위원회는 을 도출하고 이를 공개. 이는 영국 정부의 R D 투자에서 연구회(Research Councils)와 부처간 투자분야 및 추진전략에 대한 관점이 상층되는 것을 분석한 것으로, 정부R D에 대한 각 부처 및 범부처 투자분야 설정 메커니즘 구축을 위한 12개의 권고안을 제시한 것임. --------------------------- 1. 개 요 ○ 최근 정부 연구개발 투자의 효율성 제고 및 극대화를 위한 우선순위 설정 등 전략적 연구개발 투자를 위한 정책수요 증가 - 주요국들은 연구개발 투자 규모를 급속히 확대함과 동시에 지식기반경제(Knowledge-based economy) 구축을 위한 국가차원의 전략적 연구개발 분야를 설정 #8231;추진 중 ○ 이에 영국 상원 과학기술위원회(House of Lords Science and Technology Committee)*는 정부R D투자의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권고(안)을 도출 * 상원 내에 1979년 처음 설치된 위원회로, 15인의 위원으로 구성. 과학 연구와 관련한 광범위한 정책연구 및 권고안을 제시하며, 세부적으로, 대체의학, 우주 등 다양한 분야의 하위 분과를 설치하여 활동 ○ 영국 정부R D투자에서 연구회(Research Councils)*와 부처 간 투자분야 및 추진전략에 대한 관점이 상충되는 것으로 분석 * 자율예산편성 및 경영권을 갖고 운영되는 연구소 조직으로서, 현재 예술 및 인문연구회, 의학연구회, 자연환경 연구회 등 7개 연구회로 편성 - 영국전체의 연구개발 추진현황 및 정책 우선순위에 대한 논의도 미흡한 것이 주요 문제 ○ 이에 정부R D에 대한 각 부처 및 범부처 투자분야 설정 메커니즘 구축을 위한 12개 권고안 제시 2. 영국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현황 ○ (영국 국내 총괄) R D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대학지원 연구투자 규모 증가는 둔화 영국정부의 연구개발 투자액 변화 추이 (자료) BIS SET Statistics: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dicators(2009) ○ (GDP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중) '07년 현재 영국 총 연구개발(정부+민간) 투자총액은 GDP 대비 1.8%로 낮은 수준 - GDP대비 정부R D투자는 0.55%로 프랑스(0.78%), 독일(0.70%), 미국(0.75%) 보다 낮은 수준 - 또한 민간R D투자 규모(GDP대비 0.85%) 역시 OECD국가 평균에 못 미치는 상황 GDP대비 연구개발 투자액 국제비교(2007년 기준, %) 구 분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OECD평균 총 연구개발 투자 비중 1.82 2.66 2.04 2.53 3.44 2.28 정부R D투자 비중 0.55 0.75 0.78 0.70 0.55 0.64 민간R D투자 비중 0.85 1.76 1.06 1.72 2.67 1.46 ○ (정부차원의 연구개발 촉진정책 부재) 타 국가에 비해 영국은 연구개발 투자 촉진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지 않고 있으며, 이는 향후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 - 미국은 경기부양책을 통해 rsquo;09~ rsquo;10년간 총 215억 달러의 추경예산을 연구개발에 추가 투자 - 일본 역시 '09~'10년 동안 과학기술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90억 파운드 규모의 추경 예산 책정 - 인도와 중국 역시 '09년 각각 전년 대비 17%, 25%의 연구개발 예산을 증액 3. 연구개발 우선순위 설정 메커니즘 도출 방안 #983729; 우선순위 분야 설정 메커니즘 수립의 필요성 ○ (의사결정 시 이해관계 상충) 각 연구회(Research councils)는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연구의 탁월성(Excellence)을 강조 - 반면, 정부부처는 단기적인 차원에서 부처별 정책 우선순위에 부합하는 연구개발 지원 선호 ○ (종합적 연구개발 추진현황 파악 미흡) 정부의 주요 정책추진 기술 부분별 연구개발 추진 현황을 종합할 수 있는 자료가 부재하며, 국가차원의 우선순위 설정에 대한 논의 미흡 #983730; 우선순위 분야 설정 메커니즘 추진 방향 ○ (부처간 정책 조율) 범부처 차원의 중요 정책 이슈 도출을 위한 정부차원의 공식 절차 마련 및 필요시 부처간 공동 연구개발 예산 책정 - 다양한 R D분야 및 연구주체 간 이해관계 조정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 - 다학제적 연구개발 투자 확대를 통해 정부 정책 구현에 직접 활용 가능한 연구성과 도출을 도모 - 개별 부처의 독립적 정책 이슈보다는 범정부 차원의 통합적 정책 추진을 위한 연구개발 우선순위 설정 노력 필요 ○ (외부 자문단 활용) 과학기술연구회의 정부R D투자 우선순위 선정과정 참여 확대 등 외부 전문가 활용 방안 모색 - 과학기술위원회(CST, Council for Science and Technology)*의 역할 강화 * 수상에게 중장기 과학기술 정책 및 전략적 과제에 대한 자문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 최고수준의 과학기술 정책 자문기관. 17명의 학회 및 산업계의 위원들이 5개의 포괄적 주제들(연구, 과학과 사회, 교육, 과학과 정부, 기술혁신)을 중심으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자문을 수행 4. 영국 상원 과학기술위원회의 12가지 권고사항 정부R D지출 관련 ① 정부는 현재 연구자금 지원 및 지원기간의 기준에 관하여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필요 수석과학자문관(CSA, Chief Scientific Adviser) 관련 ② 정부 수석과학자문관*은 연구지원에 사용한 총 공공부문 지출 통계를 매년 발행하고 수상에게 적절한 권고안 제시 * Government Chief Scientific Adviser(GCSA)는 수상에게 자문 ③ 정부 수석과학자문의 권한 확대 ※ 정부 수석과학자문(Government Chief Scientific Adviser)을 실제 연구개발 과제선정 과정에 직접 참여시킴으로써 우선순위 과제 선정의 합리성 제고 등 ④ 부처별 R D예산 회의에 재무부(HM Treasury)와 함께 참석 ⑤ 부처별 수석과학자문관*은 부처의 장관에게 미리 부처의 R D예산에 관한 정보 전달 및 자문 * Departmental Chief Scientific Adviser(DCSA)는 해당부처 장관에게 자문 거시 과학기술 정책환경 변화 대응 메커니즘 개선 ⑥ 주요하게 상충되는(Cross-Cutting) 정책적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적절한 대응 및 조정 #8231;지원 메커니즘 정립 ⑦ 주요하게 상충되는 정책적 문제점들에 대응하는 연구개발 예산을 별도 편성하고, 단일 사업책임자(PM, program manager)를 임명하여 포괄적 권한과 책임을 부여 외부 전문가 자문의 역할 강화 ⑧ 부처별 정부 수석과학자문(CSA)이 부처 전체의 명확한 목적과 자문방향에 대한 총체적인 대표자로 자문을 수행 ⑨ 과학기술위원회(CST)가 독립적으로, 책임성 있는 객관적인 관점에서 자문을 수행 lsquo;자유공모(responsive-mode) 연구 rsquo;와 lsquo;특정목적 연구(targeted research) rsquo; ⑩ lsquo;자유공모(responsive-mode) 연구 rsquo;와 lsquo;특정목적 연구(targeted research) rsquo; 간 연구의 중요성과 연구 분야별로 균형을 맞춤 연구의 영향 (Impact) ⑪ 연구프로그램의 선정 및 지원 시, 예상되는 다양한 연구성과의 영향을 검토하여 연구자원을 할당 ⑫ 영국 고등교육재정위원회*(HEFCE)의 새로운 연구비 지원 평가체계 적용에서 연구 영향뿐만 아니라 우수성(Excellence)까지 균형있게 반영되도록 영향력의 비중을 25%이하로 설정 * The 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or England ※ 영국 고등교육재정위원회는 기존의 대학 연구비 지원을 위한 연구평가(RAE, Research Assessment Exercise)를 개선한 #65378;연구우수성성 평가체계(REF, Research Excellence Framework #65379;를 제시하고 2014년까지 도입 예정 5. 시사점 □ 한국의 GDP 대비 총 R D투자 비중은 세계 수준이나, R D 재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과학기술정책의 조정 #8231;협의 강화 필요 ※ 한국의 GDP대비 총 R D투자 비중은 3.37%('08)로 세계 5위 수준 - 이스라엘 4.86%, 스웨덴 3.75%, 핀란드 3.49%(이상 rsquo;08), 일본 3.44%( rsquo;07) ○ 주요 분야 연구수행 주체의 시각에서 장기적 연구 수행 필요성에 대한 의견 청취 및 반영 메커니즘 개발 필요 □ 과학기술의 융 #8231;복합화 추세에 따라 범부처 차원의 공동R D사업의 기획 #8231;시행 필요 ○ 두 개 이상의 기술분야가 결합되는 녹색기술 및 융복합연구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 제한된 연구개발 자원의 합리적 배분차원에서 다부처가 연계된 기술분야의 경우, 범부처 차원의 R D사업 기획 #8231;추진 확대 필요 ※ 정부는 다부처가 참여하는 부처간 공동R D사업을 rsquo;10년부터 추진할 예정. (예시) 나노융합 2.0사업(교과부,지경부), 부처연계신약개발사업(교과부,복지부,지경부) 등(국과위, 2010) ◇ rsquo;04년 7월 종합과학기술회의는 rsquo;03년부터 추진되어 오던 부 #8231;성 연계사업을 확대하여 ldquo;과학기술연계시책군 rdquo;을 도입하고 8개 추진 테마를 선정 ◇ 본 사업을 통하여, 공통의 연구기반을 구축하고 부 #8231;성간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그동안 개별부처로는 대응하기 힘들었던 성과 창출뿐만 아니라 사업의 실용화와 상업화를 기대 ◇ 선정된 8대 추진 테마는 ①포스트 게놈, ②신흥·재발 전염병, ③유비쿼터스 네트워크 (RFID 등 개발), ④차세대 로봇(공통 플랫폼 기술 확립), ⑤ 바이오매스 활용, ⑥수소이용/연료전지, ⑦나노바이오기술, ⑧지역과학기술클러스터 ※ (출처) 성지은, lsquo;일본 과학기술연계시책군 사업의 동향 rsquo;, 2009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반과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100001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