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방암 치료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6-07-29 00:00:00.000
내용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연구 결과는 예전부터 있어 왔다. 2013년에 박테리아를 몸에 주입하면 흑색종과 같은 암의 종양과 싸우는 데 새로운 무기가 될 수 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뉴질랜드 오타고 대학 미생물학ㆍ면역학과의 알렉스 맥렐란 부교수 연구팀이 박테리아가 면역 기능을 자극하면 더 강력해진 킬러세포들이 암세포를 공격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맥렐란 부교수는 박테리아를 이용하면 암에 대한 면역 반응을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으며 본래의 킬러세포가 면역기능 강화에 매우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했다. 세균이 종양을 치료하기도 한다는 사실은 약 200여 년 전부터 있었는데 하지만 이런 방법을 처음 임상에 적용한 사람은 뉴욕의 외과의사 윌리엄 콜리였다. 그는 죽은 세균,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을 환자에 주입함으로써 1,000명 이상의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그가 사용한 죽은 세균 에는 콜리독소 (Coley #39;s toxin)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콜리는 이 독소를 종양에 직접 투입하거나 혈류에 주입함으로써 많은 환자들의 목숨을 살렸다. 지난 10여 년 동안에는 존스홉킨스 대학교의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연구진이 흙 속에 사는 Clostridium novyi를 집중적으로 연구해 왔는데 C. novyi는 혐기성 세균이어서 산소가 부족한 곳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C. novyi의 아포(spore)를 랫트의 뇌종양 부위에 주입함으로써 랫트의 생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최근에는bacteria를 이용하여 유방암을 치료하고자 하는 연구가 있었다.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의 6월 호에 실린 이 연구 결과는 Lactobacillus 와 Streptococcus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DNA damage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유방암을 위해 probiotics 이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600042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박테리아; 유방암; 독소 2. bacteria; breast cancer; probi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