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EU, 연구경력 추구 및 이동 촉진의 장애물 이 보고서는 2014 년까지 유럽 단일연구공간 (ERA) 을 실현시키려는 유럽 집행위원회의 활동을 지지한다 . 이 보고서는 ERA 의 주요 목적이 유럽 내 lsquo; 지식의 자유로운 보급 rsquo; 을 확보하는 것이며 , 이를 위해서는 연구원들의 이동이 중요하다고 가정한다 . 또한 , 이 보고서는 ERA 가 무엇보다도 지식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제거해야 한다는 견해를 바탕으로 한다 . 따라서 , 이 보고서는 ERAWATCH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경험적 자료를 토대로 , 연구원들과 관련한 가장 두드러진 장애물들을 파악한다 . 이 장애물들은 인재들의 연구경력 ( research career) 추구를 저해하고 , 유럽 전역에서 연구원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한다 . 이 보고서는 EU 27 개국을 대상으로 이 장애물들의 정도를 조사하고 ,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 이니셔티브들을 살펴본다 . ERA 는 연구원들과 관련하여 2 가지 주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 첫째 , 유럽의 연구경력은 유럽 및 해외의 최고 인재들을 연구 및 혁신 활동으로 유치하는데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다 . 즉 , 최고의 우수한 인재들이 연구경력을 꺼리거나 , 다른 지역에서의 연구경력을 원한다 . 두번째 과제는 이동의 장애물이며 , 이는 정책 논의에서 더 두드러진다 . 종종 연구원들은 자신의 기술 (skill) 을 다른 국가 , 분야 또는 기관에서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 이는 연구원들의 네트워크 형성 및 지식 이전의 기회를 줄임으로써 , 유럽의 전체 연구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이전 연구들에 따르면 , 한 국가에서 수행되는 연구의 질 , 과거 평판 , 연구기관 및 인프라의 강점 , 연구원 급여 수준은 이동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들이다 . 강력한 연구시스템을 보유한 국가들은 보다 개방적이며 , 연구원들의 이동을 더 적극적으로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이 국가들은 보다 자주 국제적인 광고를 내며 , 외국인들에게 연구직에 대한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 연구원 헌장 ( Charter for Researchers) 에 서명한 기관들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 . 이 국가들은 보다 매력적인 급여 , 연구공동체 및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 외국 연구원들에 대한 개방에 따른 이익을 얻고 있다 . ERA 가 연구원들의 이동을 촉진하고 연구원들의 경력 전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 우선 연구시스템의 경직성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 따라서 , 연구경력을 보다 매력적으로 만들고 이동을 촉진하는데 있어 장애물을 해결하는 일은 필요한 조치이다 . 그렇다면 , 이 장애물은 무엇이며 , EU 27 개 회원국에서 이 장애물은 얼마나 심각한가 ? 이 보고서는 연구 시스템 및 정책에 관한 유럽 집행위원회의 정보 플랫폼인 ERAWATCH 의 정보를 토대로 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제공한다 . [ 목차 ] - 요약 - 서론 - 연구경력을 보다 매력적으로 만들기 - 이동 촉진 -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