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국내 실험동물의 개발 및 생산 기술 동향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5-03-24 00:00:00.000
내용 현대의 생명과학연구에서 실험동물의 역할은 거의 절대적이다. 일반 생물학을 비롯하여 의학, 약학, 수의학 등 모든 생명과학 관련 분야는 살아있는 시약으로 불리는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모든 결과가 얻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실험동물은 각종 연구의 기본 재료이다. 이러한 실험동물은 1800년대 중반 최초로 사용된 이후 최근 유전학 및 분자생물학의 발전과 더불어 급속히 발전을 거듭하여 많은 동물종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실험동물이 개발되었다. 최근 실험동물국제기구(International Index of Laboratory Animals, ILAR)를 통하여 공식적으로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 마우스 3,290여 계통, 랫 750여 계통, 토끼 70여 계통, 개 15계통, 영장류 36계통 등 22종류, 약 7,000여 계통 이상의 실험동물이 보고되어 있다. 이외에도 특히 최근의 활발한 연구로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는 유전자변형동물은 개발 당시 수십 계통에 불과하였으나, 최근에는 몇 천 종류의 유전자변형 동물이 보고되고 있어 실로 엄청난 수의 실험동물이 전 세계적으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 대다수의 실험동물들이 1980년대 이후 질환모델동물로 인간의 질환을 연구하기 위한 연구모델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이렇게 다양한 실험동물이나 질환모델동물은 무균상태의 사육환경인 특수 격리 사육환경(barrier system)에서 유전적 순수성 및 미생물학적 오염에 대한 정기적인 품질검정이 이루어지면서 그 동물이 가진 본래의 고유한 형질이 계속적으로 유지.보존되어야 한다. 또한 체계적인 대량 생산에 의해 고품질의 동물이 생산.공급되어야 하며, 새롭게 개발되는 다양한 동물자원에 대해서 적절히 관리되고, 합리적으로 이용되는 개발 및 생산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DT20050010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실험동물, SPF동물, 질환모델동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