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개요 ○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비전·미션에 근거해, 국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연구 영역 및 과제를 '전략 프로포잘(Proposal)'로 정리해 제안하고 있다. ○ 본 보고서는 2010년까지 제안한 66개의 전략 프로포잘의 개요를 소개하고 있으며, 그 외 성과에 대해서도 권말에 리스트로 게재하였다. 2. 프로포잘 도출 ○ 과학기술 미래전략 워크숍 등을 통하여 과학기술의 연구분야를 전망하고, 향후 중요한 분야, 영역, 과제 및 그 추진방법 등을 계통적으로 도출한다. 그리고 해외의 연구개발상황과 비교하여 사회요구 및 비전을 어떻게 실현해 나갈 것인가 등을 고려하면서 국가로서 중점적으로 추진할 연구영역과 과제를 선택하고, '전략 이니셔티브', '전략 프로그램' 및 '전략 프로젝트' 등으로 완성한다. - 전략 이니셔티브: 국가에서 대대적으로 추진해야만 하는 연구로, 사회비전의 실현에 공헌하고, 과학기술 촉진에 기여한다. - 전략 프로그램: 연구분야를 설정하고, 각 팀이 협조, 경쟁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그 분야를 발전시킨다. - 전략 프로젝트: 공통목적을 설정하고, 각 팀이 연구함으로써 그 분야를 발전시키며 공통의 목적을 달성한다. 3. 프로포잘 내용 가.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 과학기술 이노베이션의 실현을 위한 제언 ○ 과학기술 이노베이션의 실현을 위해서,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지구 규모의 문제 해결을 위한 글로벌 이노베이션, 에코시스템의 구축 ○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전략입안 수법의 개발 ○ 지역 이노베이션·시스템의 형성과 발전을 위한 중장기 전략 ○ 신흥·융합 과학기술의 추진 방책에 관한 전략 제언 나. 생명과학 ○ 시스템 바이올로지의 추진 ○ 생명기능의 디자인과 구축 ○ 생체 마이크로 코스모스에 의한 건강 평가 ○ 저분자량 화합물에 의한 세포 기능 제어 기술 ○ 면역계의 통합적인 제어 기능을 활용한 중요 질환 극복을 위한 기초적 연구 ○ 줄기세포 항상성 ○ 인간 인공 iPS세포의 작성 성공을 계기로, 관련 줄기세포 연구를 급속히 촉진하기 위한 긴급 제언 ○ 염증의 만성화 메커니즘의 해명과 제어 ○ 식물을 이용한 바이오 의약품 제조 ○ 복합적 식품 기능의 정량 해석 연구 ○ 생태계 기능의 고도 이용을 목표로 하는 Ecogenomics/Ecoproteomics ○ 생태계의 이용 : 보전 제휴 연구 ○ 디자인 인(Design-in)형 식료 생산시스템의 구축 ○ 환경 적응형 작물의 게놈 설계 기술 ○ 인지 게놈 ○ 뇌정보 쌍방향 활용 기술 다. 임상의학 ○ 임상 연구에 관한 전략 제언 ○ 통합적 신속 임상 연구(ICR)의 추진 ○ 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심사·승인 체제의 방향 ○ 건강연구 사령탑의 방향 ○ 휴먼 바이올로지에 근거한 의약품 평가 기술의 혁신 ○ 의료기기 개발에서의 통합적 신속 임상 연구의 추진 ○ 의공(醫工) 융합에 의한 이노베이션 추진 ○ 생명·의학·의료·건강을 연계하는 정보를 순환시키는 기술과 기반 구축과 활용 라. 전자정보통신 ○ IRT(Information robot technology): IT와 RT의 융합 ○ 정보사회의 의존성 ○ 정보화 사회의 안전과 신뢰를 담보하는 정보기술 체계의 구축 ○ 정보 보안의 통합적 연구 추진 ○ 신세대 네트워크의 실증적 연구 추진 ○ 유비쿼터스 정보사회를 지탱하는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기반기술의 통합형 연구개발 ○ 시스템용 디펜더블(Dependable) OS(operating system) ○ 정보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양의 변화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기술 ○ VLSI(Very large scale integration, 초고밀도 집적회로)의 독립성에 관한 기반 연구 ○ 서비스의 효율화·고도화를 위한 수리·정보과학에 근거한 기술 기반의 구축 ○ 지식을 생산·활용하기 위한 과학 구축에 대한 도전 ○ 조직에서의 지식 창조 지원에 관한 이론과 기술의 구축 ○ 자립 시뮬레이션의 제휴 시스템 구축 마. 나노테크놀로지·재료 ○ '나노테크놀로지' 그랜드 디자인 ○ 원소 전략 ○ 자립 지향형 공동 이용 나노테크놀로지 융합센터의 설치 ○ 공간 공극 제어 재료의 설계 이용 기술 ○ 나노 Synthesis ○ 분자 기술 '분자 단위로부터의 신기능 창출' ○ 나노 일렉트로닉스 기반기술의 창출 ○ '유연한' 일렉트로닉스 기반기술의 연구개발 ○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재료 연구개발 전략 ○ 에너지 안보를 달성하는 나노 구조 제어 재료 연구개발 바. 계측 기술 ○ 제조 이노베이션을 위한 High Throughput 첨단 계측 ○ 사회 인프라의 열화 진단·수명 관리 기술 ○ Dynamic Observation과 Modeling에 의한 '계면현상의 실제 환경 동적 첨단 계측' 사. 환경 기술·에너지 ○ 온실가스 배출 삭감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 ○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 기술에 의해서 과학기술 입국을 실현하기 위한 2개의 전략적 기관 설치의 제언 ○ 아시아의 발전 시나리오와 기반기술 ○ 지역 환경·생태계 예측 모델의 통합적 연구 ○ 미래형 바이오매스 에너지 시스템 기반기술 ○ 수소에너지 시스템의 분자·이온 테크놀로지 ○ 태양광 에너지의 이용 확대 기반기술 ○ 초저소비 전력화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