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EU, 3차 유로바이오포럼 - 생명과학연구를 위한 연구자와 투자자 연결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2-19 00:00:00.000
내용 유로바이오포럼 III -생명과학 연구 연결 이것은 2008년 9월 17-19일 스트라스부르그에서 있었던 3차 EuroBioFund 2008 보고서다. 이 회의는 EuroBioFund와, 유럽위원회 FP6의 특별 지원활동팀(Specific Support Action)이 조직하였다. 회의의 목적은 연구자와 기금제공자 사이의 협력을 시작하고 촉진할 네트워킹 포럼을 제공하여 생명과학 분야의 도전을 다루기 위한 것이다. 이틀간의 회의 동안, 선정된 연구 분야에 대해 어떻게 대규모의 연구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선정된 생명과학분야의 연구 주제는 다음이다. 1. 에너지 생산을 위해 (남조류-) 박테리아 가공 이 사업은 태양에너지와 물에서 미래의 재생 에너지 운반자인 수소를 생산해낼 시아노박테리아 세포를 설계하고 만들어내려는 데 목적이 있다. 대규모의 수소 생산을 위한 광생물반응기(photobioreactors)를 건설 운영할 것이다. 이 주요 R D사업은 시아노박테리아-기반-수소생산에 관한 유럽의 전문지식을 기초로 한다. 선별된 민간 기업, 정부 기관과 더불어 이 사업은 최근 미국과 아시아에서 왕성히 진행되는 미세조류 기반의 바이오연료 생산 도전과 겨루게 될 것이다. 이 계획은 최근 시작된 수소와 연료전지 유럽연합 합동기술사업(EU Joint Technology Initiative on Hydrogen Fuel Cells)과 연구에 관한 완전한 합의를 이루었다. 2. 건강을 위한 인간 내장기관의 환경유전학(Metagenomics) 1000가지가 넘는 박테리아가 인간의 몸 안에 살며 인간의 게놈보다 100배나 많은 유전자를 암호화한다. 이런 활동이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데도 이에 대한 지식이 놀라울 만큼 부족하다. 유럽위원회와 미국 복지부가 이런 문제를 다루기 위해 나섰고 이 분야의 연구를 조율하기 위해 국제 인체 미생물 컨소시엄(International Human Microbiome Consortium: IHMC)을 구성하고 있다. 현재 제안된 사업은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최대화하기 위해 인간이 내장기관 안에 있는 미생물군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3. 인간의 단백질 지도(Proteome) 분석에 쓰일 친화도 시약 유럽 자원 인간 단백질체의 기능과 복잡한 구조를 완전하게 탐구하려면, 모든 개인의 단백질에 사용할 수 있는 포괄적이며 특성화되고 표준적인 구체적인 연결 분자(binding molecules)를 확립하는 게 필수다. 현재는 이런 필수적인 시약 개발을 위한 체계적이고 질 높은 범 유럽적인 기반이 없다. 포괄적인 바인더 인프라의 이득은 비용효과적인 시약 생산과 접근을 가능하게 해서 바이오기술과 제약 산업뿐만 아니라 기초연구와 의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인간의 게놈과 질병의 구조적 변이와 배열(sequence) 변이의 유럽식 도표(profile)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전염병학과 예방대책을 통합하는 것과 더불어 인간에게 흔한 질병(disorders)과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배열 차원에서 유럽인 게놈의 구조적 변동성을 연구하려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개인과 집단 차원에서 게놈의학의 발달과 이행을 육성할 대학, 제약회사 바이오기술 관계자를 한데 모을 것이다. 5. 생존 분자 생물학(molecular biology of survival) 이 제안의 목적은 (복원력, 혹은 생명의 지속이라는) 새로운 생물학 분과를 확립하려는 것이다. 인간에게 노화나 질병을 일으키는 극한의 상황에서 저항하는 유기체에 대하 연구는 공중 보건과 의학이 흥미를 가지는 분야다. 여러 학문분야의 협력을 통해 연구의 장기 목표는 생명의 견고함(robustness)을 이루는 분자구조를 파헤치는 것이다. 특히 생명과 죽음 사이의 역이행(reverse transition)처럼 보이는 메커니즘과 과정을 탐구하는 것이다. 극한의 저항 메커니즘을 연구함으로써 효과적인 노화 예방법을 발견할 수 있고, 모든 유기물에서 공통인 노화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6. DNA 바코드를 이용하여 유럽의 생물종 다양성 측정 게놈학(genomics) 연구는 유전자 배열의 역할을 알고 이해하려는 필요에서 나왔다. 전체 생물계 차원에서도 동일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유럽은 이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입장에 있다. 유럽 생명체 바코드 컨소시엄(European Consortium for the Barcode of Life: ECBOL)은 iBOL(international Barcode of Life, 국제 생명체 바코드)의 유럽 대표다. iBOL은 5년 안에 5백 가지 생물 종의 5백만 종 표본을 암호화할(barcode) 계획이다. 목차 서문 1. 도입 2. 개회 3. 원탁 토론 4. 중개자 회의 5. 결론 6. 설문 조사 결과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04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