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09년 최고의 의학연구 10 요즘 건강 문제 해법은 건강과 의학연구와 이 연구를 수행하는 이들의 수준에 달려있다. 1915년 이후 호주가 수상한 노벨상 10개중 절반은 생리학과 의학 분야였다. 새로운 지식 습득의 속도는 빨라지고 있다. 이런 지식을 통해서, 질병을 예방, 진단, 치료할 수 있는 놀라운 기회가 만들어진다. 호주는 국립보건의료연구협의회(NHMRC)을 통해 최고의 연구자가 수행하는 최고의 연구에 투자한다. 이 보고서는 2009년 시행된 8천 가지 연구중 가장 우수한 의학 연구 10개를 선별했다. 1. 말라리아 연구- 2003년부터 5년 동안 466,025달러를 투자했다. 2002년부터 Darwin's Menzies School of Health Research 는 인도네시아의 연구자들과 약물에 저항을 보이는 말라리아 종의 치료제 개발과 주요 기관에 혈액 공급을 막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내기 위한 협력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2. 게놈 연구 – 2005년부터 3년 동안 519,000달러를 투자했다. DNA의 화학작용을 조절하는 DNA메틸레이션(methylation) 패턴은 초기 발달 단계에서 형성되나 이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 각종 질병과 이상 증세에 빠지기 쉽다. Epigenetics라는 메틸레이션 연구는 급속하게 성장하는 새로운 연구 분야로 NHMRC 연구원(principal research fellow)이 연구를 이끌고 있다. 3. 수면 연구 – 2004년부터 5년 동안 444,500달러를 투자했다. 수면 장애 연구소와 해부와 인간 생물학 대학(School of Anatomy and Human Biology)의 연구는 수면과 마취시 상부 기도에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을 알아내고 자세가 수면 무호흡증에 미치는 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4. 세포 연구 – 2002년부터 5년 동안 685,500달러를 투자했다. 각종 자극에 세포가 어떻게 반응을 하는 가가 질병과 건강의 차이를 만들고, 이를 위해 현대 의약 연구의 거의 절반은 세포 표면에서 반응기와 결합된 G-단백질(GPCR)이라고 알려진 분자를 연구 목표로 삼고 있다. 웨스턴 오스트레일라아 의학연구소는 GPCR 연구에 집중한다. 5. 당뇨 연구 – 2004년부터 5년 동안 5,289,733달러를 투자했다. 유형 1당뇨 퇴치를 위해 멜번의 월터 엘리자 홀 연구소는 장기 임상시험을 보강 연구를 하고 있다. 6. 원주민 건강 연구 –2006년부터 2년 동안 298,269달러를 투자했다. 호주 원주민은 비원주민보다 신장 질환이 9배 더 많고 심장 혈관계 질환으로 10배 이상 많은 수가 조기 사망한다. 2002년부터 2년 마다 원주민 어린이와 비원주민 어린이를 비교 연구하여 원주민 어린이들에게 특별히 그런 질병이 많은 특별한 요인이 없음을 알아냈다. 7. 암 정복 연구 –2005년부터 3년 동안 787,000달러를 투자했다. 피터 맥컬럼 암연구소와 멜번 대학의 연구로, 방사성 약물을 주변 조직에 해를 미치지않 종양에 전달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8. 출산 연구 – 2004년부터 4년 동안 266,500달러를 투자했다. 조산아가 살아남아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이 의학 연구로 가능해졌다. 아델레이드 대학 연구는 조산아 생존 문제나 저체중아 문제가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임신22-40주 사이에 태어난 12세 아동 연구결과 임신 기간이 1주일씩 짧아질수록 뇌발달에 상당한 감소가 있음을 알아냈다. 9. 림프 연구 –2004년부터 5년 동안 2,589,200달러를 투자했다. 많은 암은 림프계를 통해 퍼진다고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는 암이 이를 위해 림프 채널을 변형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현재 이루어지는 연구는 어떻게 림프계가 발달하고 기능하는지에 대한 기초 지식 전달에 있다. 10. 육종 연구 – 2003년부터 5년 동안 433,500달러를 투자했다. 이 분야의 연구에서 가장 흥분되었던 순간은 한 연구자가 골육종의 성장을 더디게할 수 있는 유전자를 발견했을 때다. 많은 종양의 분자 프로파일링으로 최소하 세가지 유망한 치료법과 육종 성장을 억제하는 두개의 유전자를 알아냈다. 목차 건강과 의학 연구는 왜 중요한가? 의학연구자가 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말라리아 전사-최전선에서 말라리아와 싸우다 게놈 선구자-유전체는 왜 활동하나 수면 조정자-수면과 수술시에 편안한 숨쉬기 세포 조절자-세포 표면의 긴장 이해하기 당뇨 퇴치-유형1 당뇨를 역사 속에 묻는다 평등 출발-토착민 아이들이 건강해지기 시작한다 지혜로운 암 퇴치-특효약으로 암을 치료한다 출산 연구-크기와 시기는 언제 문제가 되나 림프 지도작성자-암의 비밀 통로 탐구 생명 수호자-육종으로부터 젊은이 구하기 베스트 연구 10가지에 참여한 연구자 명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