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국제 벤치 마킹 보고서 염증연구 국제기술력 비교조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8-27 00:00:00.000
내용 「염증」은 고령자에 다발하는 신경질환 , 소화기질화 , 대사성질화 , 암 등의 만성질환에 관여하는 생체반응인 것이 최근 과학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초고령 사회를 맞이하는 일본에서 염증관련 질환의 연구추진은 가령에 동반한 신체기능의 저하나 질환에 대한 젊은 시기에서부터의 예방의료의 진전과 난치질환의 극명 , 건장장수의 연장 등 , 고령자를 시작으로 하는 국민의 의료의 향상과 건강의 증진에서 중요한 시책으로 여겨진다 . JST 연구개발전략센터 (CRDS) 생명과학 유니트에서는 향후 중요하게 될 세포 레벨의 연구영역으로 「염증 만성화 기구의 해명과 억제」를 추출하여 전략 프로포절로 책정하기 앞서 일본의 관련분야연구의 국제적인 수준에 대하여 데이터 해석 및 인터뷰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 그 결과 아래의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 1. 미국에서는 「염증」이라는 틀 구조에 의한 국가전략으로 연구추진시책은 정체하고 있지만 관련연구의 중요성이 과학정책 담당자 , 및 자금배분기관에 확인되고 있다 . 그리고 염증관련연구의 기반기술개발이나 융합분야의 창출을 목표로 제약기업의 연구개발이나 젊은 인재육성으로의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 2. 영국에서는 자국의 건강동향에 관하여 조사연구를 기초하여 「염증」을 전면에 내 놓은 국가적 연구전략을 세워 관련연구를 집약한 연구기관의 설립과 집중투자를 실시하고 있다 . 3. 유럽에서는 유럽위원회의 Sixth Framework Programme for Reseach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P6) 에서 Innovative medicine initiative (IMI) 의 전략적 연구과제의 하나로 염증연구를 명기하여 바이오 마커나 이미징 기술의 개발에 중점적으로 투자하여 제약연구를 추진해 왔다 . 또한 FP7 에서 염증관련연구로의 투자로부터는 독일의 우열과 스웨덴 , 오스트리아의 대두라는 구도가 보여진다 . 4. 연구 프로그램으로는 「면역학」「분자생물학」「암」 등 기초연구의 기존영역을 망라하고 다양한 질환을 커버하는 형태의 영역 망라형의 추진체제가 많으나 특정의 질환의 치료약 개발을 신속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알츠하이머 병」「천식」「백혈병」등 하나의 염증관련질환을 분자로부터 세포 , 동물 모델 , 시스템 바이오로지 등의 레벨까지 커버하는 질환 특정형 연구 프로그램이 미국의 기업내나 영국의 국가전략 하에서 실시되고 있는 중이다 . 위에 입각하여 일본의 염증연구의 향후 대처방안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 1. 노령인구의 동태나 연구계산 규모의 관점에서 영국 , 독일을 시작으로 하는 유럽의 정책입안 로직 (logic) 를 고려하면서 미국 및 FP7 에서 연구투자동향에 입각한 연구개발전략의 책정이 적당하다 . 2. 고령사회 피크를 맞이하는 2050 년 전후에 확실한 사회실장효과를 초래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고령자의 사인의 비율이 높고 모든 사회적 영향이나 경제손실 큰 질환에 초점을 맞춘 질환 특정형 프로그램연구를 추진하면서 장래적으로 염증관련연구를 담당할 인재를 폴 넓은 분야로부터 육성하여 연구 시즈를 개척하기 위하여 영역 망라형 연구를 전개하는 것이 적절하다 . 이번의 조사결과에 관해서는 일본이 진행해야 하는 염증관련연구에 대한 전략 프로그램 「염증의 만성화구조의 해명과 억제」에 반영시킨다 . 목차 1. 배경과 목적 2. 조사방법 3. 조사의 정리 4. 조사 멤버의 종합소견 ( 미국편 ) 부록 gt;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230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