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중국국립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China, NLC) 소개 NLC는 중국 출판물의 보고이자 서지센터로 고문서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역할도 하고 있다. 주요 업무로는 첫째 , 국내외 출판물의 수집과 보존 . 둘째 , 문서 보존 및 관리의 국가협력 제공 . 셋째 , 각 정부기관 및 사회단체 , 대중에게 정보검색 서비스 제공 . 다섯째 ,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와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가이드라인 제공 , 그리고 IFLA 및 관련 단체 활동 참여로 국제문화교류에서 중국과 해외 도서관의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고 있다 . 2. NLC 컬렉션의 개요 NLC 는 해외 출판물과 역사서를 포함한 방대한 컬렉션을 관리하고 있다 . 2013 년 , 고서를 포함 3 천 2 백만 점 이상의 서적과 유물은 오래되고 희귀한 컬렉션으로 유명하다 . NLC 는 약 290 만 건의 희귀 기록물도 소장하고 있다 . NLC 는 중국어로 이용 가능한 모든 서적을 수집하는데 주목할 만한 저자의 원고부터 혁명기록물 , 학위논문에 이르는 특별한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 . 그리고 국제기구나 외국정부의 간행물에 의한 기탁도서관도 그 중 하나이다 . 다양한 유형의 정보 매체가 새로이 발전됨에 따라 전자 간행물의 수집도 늘려 2013 년 기준 , 자체 생산한 737.97TB 의 데이터를 포함해 총 874.5TB 에 이르는 디지털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 . 3. NLC 의 수서 활동 NLC 의 수서 일반 원칙은 다음과 같다. : 첫째 , 중국어 서적은 다양하게 ( 포괄적으로 ), 외국어 서적은 선별해서 ( 선택적으로 ) 수집한다 . 둘째 국내 출판서적은 다양하게 ( 포괄적으로 ), 외국 출판서적은 선별해서 ( 선택적으로 ) 수집한다 . 셋째 , 정식 출판물은 많이 수집하되 , 사본은 적게 수집한다 . 3.1 국내서적 ( 중국 ) a) 납본 (1916 년부터 시행 ) - 1916 년부터 법령에 의해 납본 시행 - 관련부서 : 국내서 수서 및 편목 부서 - 추진내용 : 국내 출판계와 연계를 통해 적시에 납본 추진 이미지 출처 : Acquisition activities in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http://www.ndl.go.jp/en/cdnlao/newsletter/081/812.html b) 구매 - 총예산 : 170,000,000 위안 - 국내서적 구매율 : 18% (* 장서정책에 따라 구매율 조정 ) c) 기탁 - 목적 : 국내외의 기탁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장서 확보 - 대상 : 희귀본 , 지도 및 지도서 , 금석문 , 탁본 , 학문적 가치가 있는 역사자료 , 특수유형 장서 등 - 수집 장려를 위해 수집 목록 공표 3.2 희귀 도서 NLC 는 경매나 협상으로 희귀 도서 , 유명인의 원고 등과 같은 특별한 형태의 문서를 적극적으로 수집한다 . 경매시장에서 구매하는 것의 주의할 점은 사서를 할당해 서적의 선택과 응찰 등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 동시에 , 해외에 가서 중국어 희귀 서적이나 고서적의 원본 및 사본을 수집하는 것도 희귀서적 수집의 또 다른 중요 방법이다 . 그 외 유명인의 기탁 역시 도서관의 수집을 늘리는 좋은 방법으로 예를 들면 , 중국계 미국인 수집가 Chen Canpei 가 기부한 중국의 유명 건축가 Liang Sicheng 의 원고는 중국 국가 도서관 소장본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 중 하나이다 . 3.3 디지털 자원 NLC 는 일반적인 리소스는 구매하는 반면 특별 자원은 독립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 구축 , 처리 , 보유 , 확산에 중점을 둔 리소스는 보증된 토대에서 영구적인 디지털 자원을 구축하고 창조하며 메타데이터를 수집한다 . 디지털 리소스를 위한 NLC 의 디지털컬렉션 접근법은 다섯 가지가 있다 . a) 납본 : 비용 절약 및 다수의 디지털 정보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b) 구매 또는 가입 영구 액세스 권한 또는 전자 저널 , 데이터베이스 및 백과사전과 같은 전자 책 및 상업 자원에 대한 정기 구독 등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 c) D/B 구축 - 대상 : 고서 , 원고 , 지도 , 갑골문 등 희귀본 컬렉션 - 방법 : 디지털화 후 온라인 상 활용 확대 , 음성기록 , 사진 , 동영상 등 다양한 포맷 활용 - 효과 : 장기보존 및 정보활용성 증진 d) 웹 탐색 - 학술정보 : 웹 , 주제 기반 게이트웨이 , 포털 - 온라인 리서치 툴과 오픈액세스 이미지 출처 : Acquisition activities in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http://www.ndl.go.jp/en/cdnlao/newsletter/081/812.html e) 디지털 아카이빙 : 중국 도메인이나 웹 정보원 , 2008 베이징올림픽 공식 사이트 같은 주요 행사 등 이미지 출처 : Acquisition activities in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http://www.ndl.go.jp/en/cdnlao/newsletter/081/812.html 3.4 외국 문서 a) 구매 - 1920 년대부터 외국서적 구입 ( 외국서적 구매비율 50% 이상 ) - 외국서적 비율은 전체의 40% b) 교환 - 1949 년부터 해외교환을 통해 장서 수집 - 117 개 국가 및 지역 552 개 기관과 교환체계 형성 - 대상 : 일반도서 , 정기간행물 , 오디오 및 비디오자료 , 국제기구 및 외국정부의 간행물 4. 기타사항 및 논평 문서 수집은 일반적으로 중국의 규칙과 규정으로 억제된다 . 예를 들어 납본은 법적 강제성을 띄지 않는 , 규정을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국내 출판물의 납본이 체계적으로 입법화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 나아가 국내 출판물의 납본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국가 정책의 지원이 필요하다 . 오디오 및 비디오 자료 , 마이크로필름 문서 외 공간의 이점과 귀중한 정보를 가진 비공식 출판물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NLC 및 국내외 도서관들 간의 소통과 협력으로 리소스 공유 촉진 , 컬렉션의 효율성 및 가치 향상을 굳건히 해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