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최근 지식서비스 기업인 Digital Science는 Relative Citation Ratio (이하 RCR. 상대적인용률)를 자신의 제품들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RCR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표한 인용지표이다. RCR를 발빠르게 적용한 다른 사례로 뉴욕대학교(NYU) 보건과학도서관이 있다. 도서관이 제공하는 주제 가이드에서 연구성과의 인용지표 중 하나로 RCR을 설명한다. 보건 분야의 거대한 자금기관인 NIH의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앞으로 NIH에서 연구비를 받는다면, RCR로 연구성과를 평가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 출처: NYU Health Sciences Library ? Subject Guides ? Citation Metrics http://hslguides.med.nyu.edu/content.php?pid=687223 sid=5760975 RCR은 간단히 말하면 연구의 영향력에 대한 논문 단위 지표이다. 그리고 주제 분야에 대해 정규화된 지표이 다. 주제 분야에 대해 정규화하였다는 점은 기존의 영향력지수(Impact factor)나 SJR(Scimago Journal Rank), 허시 지수(h-index) 등과 차별화되는 점이다. RCR의 다른 특징으로는 계산의 대상을 모든 인용 행위가 아니라 동시인용(co-citation)으로 제한한다. RCR의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 학술논문의 인용횟수를 연도별 인용횟수로 나눈다. 계산된 값은 논문인용률(ACR = Article Citation Rate)가 된다. 2) 논문의 동시인용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대상 논문을 인용하는 모든 논문을 수집한다. 그러면 인용하는 논문들의 참고문헌 목록에 있는 모든 문헌들이 동시인용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3) 동시인용 네트워크에서 논문의 저널인용률(JCR = Journal Citation Rate)의 평균으로 주제분야인용률(FCR = Field Citation Rate)를 계산한다. 4) 벤치마크 논문집합을 통해 기대인용률(ECR = Expected Citation Rate)를 생성한다. 주어진 연도에 출판된 NIH 지원 연구결과 논문을 이용해 논문인용률과 주제분야인용률 사이의 선형회귀 방정식을 만든다. 회귀방정식은 연도별로 계산된다. 5) ACR과 ECR의 비율로 RCR을 계산한다. RCR을 도출하기 위한 기본적인 알고리듬과 계산방법은 이론적으로 위와 같다. 그러나 실제로 연구자가 자기 논문에 대해 RCR을 구하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한다. 위의 NYU 보건과학도서관의 설명처럼, NIH가 만든 웹사이트ICITE( https://icite.od.nih.gov )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먼저 PubMed에서 논문들의 PMID 목록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ICITE에서 업로드하면 계산 결과를 얻게 된다. RCR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은 독자는 NIH의 연구진이 발표한 아래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ive Citation Ratio (RCR): A new metric that uses citation rates to measure influence at the article level Bruce Ian Hutchins, Xin Yuan, James M Anderson, George M Santangelo bioRxiv 029629; doi: http://dx.doi.org/10.1101/029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