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사업목적 : 과학기술 전분야(인접 인문사회과학분야 포함)의 창의성 높은 학제간 공동연구 또는 개인연구에 대한 지원을 통한 기초연구능력 배양 및 우수 연구인력 양성 수리과학(8), 화공소재(7), 생명과학(15), 전기정보(9), 공학기반(8), 융합과학(6) 총 53개 전문분과로 구성됨 예 산 : 116,200백만원 중점 추진 방향 ○ 기초연구의 전주기적 지원체제 구축을 위한 심화단계의 개인연구지원 ○ 고위험, 혁신분야(미래도전연구)에 대한 정책적 지원 추진 ○ 수리과학 등 관심소외분야 및 극지기초과학, 과학기술혁신정책, 수학과학교육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 추진 ○ 선정평가시 사전(온라인)검토 강화 ○ 소규모 과제의 경우 Program Director에 의한 과제선정 방식 시범도입 ○ 연구책임자의 과제 참여율(최소 20%이상) 강화 ○ 국가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여성 #8228;지방인력과 신진연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으로 참여확대 유도(가산점 부여) - 학제기초 신규과제에 대해 지방(43%), 여성(16%)에게 배분 목표 - 핵심기초 신규과제에 대해 신진연구자(30%)에게 배분 목표 ※ 지방연구자는 16개 광역지자체(시 #8228;도) 기준으로 수도권과 KAIST, 광주과기원, POSTECH을 제외한 대학 또는 연구기관에 소속한 자로 함 ※ 여성은 선정목표 미달시 전년수준 선정비율(14%) 수준의 최저할당제 도입 ※ 신진연구자는 최초 임용 5년 이내의 대학(교) 전임강사 또는 조교수, 연구교수, 공공 #8228;민간연구소 등의 연구원 ○ 특정기초연구 수행결과 우수연구성과자 우대 ○ 과제수행시 e-science를 활용한 연구를 권장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