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과학기술계 원로 등 석ㆍ박사 우수 인재, 개도국 대학ㆍ연구소에 파견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개도국의 과학기술 발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개도국 대학ㆍ연구소에 교수 또는 연구원으로 파견할 “과학기술 지원단(Techno Peace Corps)” 49명(개인 단원 20명, 기관 단원 29명(10개 대학 소속))을 선발하였다고 17일 발표하였다. '개도국에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을 전수하겠습니다.' □ 환갑을 넘은 나이에 과학기술 전도사로 제2의 인생을 설계하는 홍성윤 전(前) 부경대학교 교수(68세, 수산생물학)와 박찬무 전(前) 명지대학교 교수(66세, 건축 및 환경설계)와 최연소자인 이진희(27세, 화학 및 섬유학) 씨 등이 과학기술지원 단원으로 선발되었다. ○ 최고령자인 홍 전 교수는 인도네시아에서 수산교육과 해양생물 BT 기술을 전수할 예정이고, 박 전 교수는 말레이시아에서 생태재생 설계기술을 교육하고, 최연소자인 이 씨는 미크로네시아에서 생물과 화학 분야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금년에는 정보통신공학, 컴퓨터공학, 생명공학, 환경설계, 화학공학, 수산학, 원자력공학 분야 등의 이공계 인력이 선발되었으며, ○ 과학기술지원 단원들은 라오스, 몽골,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캄보디아, 튀니지 등 아시아와 아프리카 12개국에 파견될 예정이다. □ 선발된 단원에 대해서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월정 체제비, 특수지 근무수당, 여행경비, 보험료 등을 지원하는데, 올해 파견되는 49명 단원의 96%인 47명이 석ㆍ박사 학위자들이다. ○ 단원들은 파견기간 1년 동안 개도국 내의 파견기관에서 이공계 분야 교육ㆍ연구, 기술교육, 컨설팅 등 과학기술 협력 활동을 하게 된다. '우리 대학, 개도국 대학과의 과학기술 협력 시동' □ 특히, 교육과학기술부는 처음으로 우리나라와 개도국 대학ㆍ연구소와의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전략적 협력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기관단위의 개도국 과학기술 협력 시범 계획을 10개 선정하였다. ○ 전주대는 ①캄보디아 국립기술대(NPIC)의 IT 교육과정 개발 지원, ②현지 진출 우리 중소기업과의 산학협력 활동을 통한 애로기술 지도와 ③캄보디아의 건축설계 기준안 마련 등의 활동을 수행할 예정이다. ○ 두원공대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자동차 에어컨 생산 인력 양성 및 취업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 우즈베키스탄의 기술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현지 진출 우리기업과의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현지 기술인력에 대한 교육ㆍ기술지도ㆍ기술개발 활동을 수행할 계획이다. ○ 동아대는 중국 감숙성에서 “신(新)농촌건설을 위한 소득증대 영농 기술 지원 및 새마을 교육을 통한 의식개혁 사업”을 추진하여 - 영농 기술지도 기반 구축, 새마을 교육시스템 구축,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의 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 강원대는 라오스 수파노봉대학과 농업바이오 분야의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 올해에는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중국을 신규 협력 국가로 포함하였으며, 동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저탄소 녹색 성장과 에너지 협력 외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