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연구의 배경 현재의 과학기술 의존사회에 있어서 시민이 과학기술에 주체적으로 참가하는 것이 지속 가능하고 성숙한 사회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 불가결하다 .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 리터러시」를 명확하게 정의 , 조사하여 그 결과물로 과학기술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작성을 해야만 하는 것이다 . 「과학기술 리터러시」를 정의하여 교육을 위한 지침으로 한 연구는 몇 가지 열거할 수 있다 . 하지만 본 프로젝트와 최근의 과학기술 리터러시에 대한 조사연구의 상이점은 대규모의 질문 조사에 의한 매크로한 과학기술 리터러시 실태조사만이 아닌 과학기술에 관한 실제의 대화의 담화분석에 의하여 메조 레벨의 실태조사도 함께 실시하여 이러한 지견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일체적으로 시행했다는 점에 있다 . 연구개발의 목표 제 1 의 연구목표 종래에 막연하게 파악되었던 「과학기술 리터러시」를 사회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정의하고 대규모의 질문조사에 의하여 과학기술 리터러시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동시에 어떠한 요소경향을 가진 사람들이 있는가를 「과학기술 리터러시 클러스터」로서 파악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 제 2 의 연구목표 모델이나 필드에서 질문의 분석에 기반하여 각각의 클러스터간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화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그 프로그램의 시행을 통하여 과학기술 리터러시 교육수법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 연구개발 항목 #9642; 앙케이트 조사 본 프로젝트의 조사수법으로는 질문지 조사와 필드조사라는 다른 질의 연구개발을 실시하면서 양자를 종합한 점에 특색이 있다 . 「앙케이트 조사 그룹」은 회수 수 1000 표의 대규모 질문지 조사와 통계분석에 의하여 과학기술 리터러시 클러스터 모델을 작성하였다 . 나아가 리터러시 향상 프로그램 참가자의 리터러시를 파악하기 위하여 회답하기 쉬운 용이판 질문지를 작성하여 필드 조사를 실시하였다 . #9642; 필드 조사 ∙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학기술에 관한 대화에 있어서 실제 행동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복수의 필드에서 참여관측을 실시함과 동시에 담화 데이터를 수집 ∙ 분석하였다 . 리터러시와 학습 ∙ 교육은 개인과 개인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다는 관점에서 그 매체가 되는 담화를 분석하는 것은 사회에 있어서 리터러시 실태를 파악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서 빠져서는 안 되는 요소이다 . 본 「필드 조사 ∙ 교육 프로그램 개발 그룹」은 이 같은 데이터를 밑바탕으로 클러스터별 리터러시 교육 ∙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그 몇 가지를 필드에서 실시하고 검토하였다 . 소수의 필드만으로는 다양한 사례의 과학기술 리터러시를 파악하고 범용성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그러므로 동경공학대학 외의 멤버에 의해 「히로시마 조사 필드」를 설치하여 히로시마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활동을 실시하는 볼런티어 단체인 「과학기술시민 카운셀러 연락회의」의 협력을 얻어 카운셀러의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실천을 통하여 히로시마 시민의 과학기술에 대한 의식이나 니즈를 조사 ∙ 분석하였다 . 주요 결과 및 성과 #9642; 과학기술 리터러시 클러스터 모델의 제시 과학기술 리터러시는 「과학적 기초지식과 수법을 과학기술을 포함한 사회에 대한 관심과 태도에 연결하여 과학기술에 관한 화제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능력」이라고 정의 하였다 . 이 정의에 기초하여 이하의 항목의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 1) 과학 , 기술을 포함한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흥미 (15 문 ) 2) 과학이나 사회에 대한 태도와 관심 (35 문 ) 3) 과학기술과 사회에 대한 평가 (15 문 ) 4) 과학적 지식 (13 문 ) 5) 과학적 수법과 사회적 판단 (12 문 ) 6) 속성 ( 인터넷조사 8 문 / 우편조사 7 문 ). 인터넷 조사와 우편조사는 기본적을 동일 질문항목을 사용하여 인터넷조사에서는 1112 표 , 우편조사에서는 1286 표를 회수하였다 . 리터러시 클러스터 모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 항목 1, 2, 3 의 설문군 65 문부터 인자분석에 의한 인자를 추출하였다 . 우편조사의 데이터에서 추출한 인자는 이하의 3 인자이다 . 1) 과학인자 .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 , 과학기술제품의 사용하는 등에 관한 인자 . 2) 사회인자 . 과학과 기술 이외의 분야에 대하여 흥미나 사회적 활동에 관한 인자 . 3) 과학중시인자 . 과학기술의 평가나 과학자를 긍정적으로 파악하는 의식에 관한 인자 . 덧붙여 이 3 인자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링 하였다 . 얻어진 4 개의 클러스터 중 소속인수가 가장 많은 것은 과학인자가 낮지만 생활인자가 높고 과학중시인자가 중간 정도인 클러스터 -3 이며 이 클러스터는 여성이 많은 경향이 있다 . 나아가 과학지식 득점과 과학중시인자의 상관은 없었고 결여 모델은 오류였다는 결과를 얻었다 . 이런 결과로써 협의의 과학기술 리터러시인 과학인자 및 지식점만이 아닌 생활인자와 과학중시인자에 의한 복합적인 과학기술 리터러시를 추출해 낼 수 있었다 . #9642; 담화분석 많은 사람들간의 담화에 대하여 분석하는 수법은 아직 완전하게 확립되지 않았다 . 때문에 먼저 다른 사람과 자신에 대한 평가적인 발화 ( 發話 ) 의 연쇄가 보다 탐구적인 대화를 끌어낸다는 가설하에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론」에 있어서 메일링 리스트 , 히로시마 필드에서 사이언스 카페나 워크숍 , 사도 ( 佐渡 ) 필드에서 워크숍의 담화를 수집 , 분석하였다 . 이들의 지견에 의하여 메타적 커뮤니케이션 발화 , 문맥의존적 발화 , 문맥 비의존적 발화라는 코드에서 발화를 분류하여 그 빈도와 연쇄를 파악함으로써 대화 참가자가 참가 시 방책 ( 方略 ) 의 경향을 명확히 하고 리터러시 클러스터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수법을 개발하였다 . #9642;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전국조사의 결과의 10 문항에서 리터러시 클러스터 판별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 이 간이판 질문지를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나 일반형 과학 이벤트 등의 방문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대부분이 과학인자가 높은 2 개의 클러스터 -1 과 2 가 차지하고 있어 다양한 클러스터가 참가하기 쉬운 프로그램이 아니다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이 리터러시 경향 파악에서 사회인자가 낮은 클러스터 -2 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공계 학생형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지적재산권 , 직업체험 , 초등교육과의 연대 , 그리고 담화분석의 결과에 입각한 응용 언어학이라는 요소를 포함한 실습을 통하여 클러스터 -3 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목표한 프로그램으로 정리 되었다 . 또한 클러스터 -1 과 2 이 각각의 반수를 차지하는 이공계 연구자나 과학 볼런티어에 대한 프로그램으로는 미디어 리터러시나 조직운영 , 지역교육도 중점화한 프로그램으로 고안되었다 . 이 지견들이 일부는 『과학 ∙ 기술의 현장과 사회를 연결한다 -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 입문』으로 출판하였다 . 본 프로젝트가 개발한 리터러시 클러스터 모델과 간이판 질문지는 과학기술관련 프로그램으로의 참가자 평가 , 대상별 리터러시 교육의 지침을 정하기 위한 지견으로 제공되었다 . 목차 1. 연구개발 프로젝트 2. 연구개발 실시의 개요 3. 연구개발 구상 4. 연구성과 5. 연구개발 실시체제 6. 성과의 발신과 아웃리치 활동 등 7. 맺음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