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09 년 집계된 중국 과학기술형 중소기업은 이미 15 만 업체로 수적으로나 질적으로 나날이 발전되어 중국 경제 구조 조정을 가속화하고 있다 . 하지만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형 중소기업이 직면한 융자 및 관리 문제는 장기적으로 관련 기업과 산업 발전을 붙잡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 기업은 융자와 관련해 , 과학기술형 중소기업은 신기술의 산업화 전환 과정 중 기술 , 시장 , 관리 및 재무 등과 같은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은행 대출 , 회사 채권과 주식 발행과 같은 3 종 통로 융자가 어렵고 자본의 단기적 결핍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또한 기업 관리 방면과 관련해 , 과학기술형 중소기업은 기술인력에 의해 창업된 회사가 대다수로 그들은 전문 기술에 정통하지만 기업의 경영 관리 , 시장 개척 분야에는 전문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낳으며 중소기업의 시장 적응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 중국 과기부는 과학기술형 중소기업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융자 및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재정부와 함께 위험 창업 투자를 격려하는 국가 정책 조치를 제정해 나가고 있다 . 특히《과학기술형 중소기업 창업투자 유치기금 관리 잠행 방법》의 실시해 정부 격려의 위험창업투자기금관리 운영 모델의 규범화를 이끌고 있다 . 위험 투자가 중점적으로 이뤄진 분야를 살펴보면 , 제 2 세대 인터넷 , 애니메이션 창조 , 풍력 , 태양능 , 바이오 에너지 분야에 집중됐으며 특히 신흥분야의 과학기술형 중소기업에게 제공된 기회가 많았고 각 지방 정부가 설립한 창업투자유치기금은 총 200 억 위안에 달했다 . 위험투자업의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면 , 위험투자업의 경우 많은 선진국에게 있어서 기술혁신력과 업그레이드 사회를 추진하는 중요한 동력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많은 선진국들이 위험투자업종 발전에 힘을 쏟고 있는 실정이다 . 미국은 일찍이 《중소기업투자법안》을 발표해 수많은 중소기업 투자회사를 세웠고 영국은 90 년대 《기업투자계획》법안을 발표해 영국의 위험투자 발전 속도의 박차를 가했다 . 또한 호주의 경우 2000 년대 정부지원계획을 제정함으로써 개인자본의 위험투자시장을 유치를 이끌며 신흥산업 발전을 이끌었다 . 중국 정부 관련 정책을 살펴보면 , 2008 년 과기부 등 6 개 부처가 《산업기술혁신 전략 연맹 구축 추진에 관한 지도 의견》을 발표해 중점 분야연맹의 발전을 지원 격려 - 본 문건은 시장을 원칙으로 산업기술혁신전략 연합체 구축을 통한 시장 및 기술자원의 효율적 조직을 통한 기업 , 대학 및 과학연구소 협력 모델의 발전노선을 그리고 있다 - 했다 . 또한 금년 초 과기부는 《혁신형 도시 시범 업무의 진일보 추진에 관한 지도 의견》 , 《혁신형 도시 건설 관측 평가 지표》를 제정해 혁신형 도시 건설을 국가 혁신체계 건설의 일부분으로 삼았다 .( 현재 심양 , 탕산 등 20 개 국가혁신형 도시시범업무가 완성 됨 ) 즉 , 산업기술 혁신연맹 구축으로 ldquo; 기업 주체 , 시장 주도 , 산학연 결합의 기술혁신체계 rdquo; 를 추진하고 혁신형 도시 건설을 목표로 지역 건설을 국가 혁신체계 수립의 중요한 일부분으로 삼는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이렇듯 , 중국 정부의 위험창업투자 및 과학기술형 중소기업의 발전 결과 2008 년 중국 창업위험투자관리 자금 총액은 2007 년 대비 342.8 억 위안 증가한 1455.7 억 위안에 달했고 2008 년 중국 창업위험투자기관 수는 464 업체에 달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