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생명과학 분야의 전망과 중요 연구 영역 : 뇌신경 분야 검토 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1-05-16 00:00:00.000
내용 1. 개요 ○ 본 보고서는 뇌신경 분야에서의 중요 연구 영역 제안과 연구개발 동향의 장래 전망이나 추진상의 과제에 대한 검토 활동 내용이다. - 본 활동은 유식자를 대상으로 한 개별 인터뷰와 인터뷰 유식자로부터의 중요 연구 영역 제안, 워킹 그룹에 의한 분과회 사전 검토 및 분과회에서의 중요 연구 영역 후보 평가와 종합 토론에 의거하고 있다. 2. 과제 선정 가. 중요 연구 영역 선정 ○ 인터뷰 유식자로부터의 개별 제안을 워킹 그룹 참가 유식자의 협력을 통해 분과회에서의 논의와 평가를 근거로, 5개의 중요 연구 영역은 선정하였다. -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의식적 행동 선택 양식의 뇌과학적 이해와 최적화법 개발 - 인간의 '마음'을 생성하는 뇌신경 과정의 생물학적 인과성의 해명과 그 이상(異常)의 극복 - 신경·정신 질환의 치료 전략을 응시한 통합 연구 - 혁신적인 공학·이학·유전학적 기술의 개발에 의한 뇌신경 동작 양식의 대규모 고밀도의 관측과 조절 - 뇌질환의 'Missing heritability'의 해명: 임상 유전학을 기반으로 한 뇌질환의 원인 해명 나. 6개의 참고 제안 선정 ○ 상기 5개 중요 연구 영역 외에, 다음 6개 과제는 참고 제안으로서 선정하였다. - 뇌질환 자원을 활용한 뇌신경 과학과 정보 기반 - 뇌·신체·환경의 포괄적 이해에 근거한 '마음'의 문제로의 다각적 대처법의 창출 - 전(前) 임상시험에 직결한 모델 동물에 의한 통합적 정신·신경 질환 치료 연구개발 - 뇌와 장기간 네트워크의 고차 제어 기구 - 글리아(Glial)에 의한 뇌기능의 통합적 제어 메커니즘 해명 - 임산부 및 발달·사춘기에 의한 기분 및 인지 발달의 장애에 관한 유전 환경 상호작용의 해명 3. 뇌신경 분야의 향후 발전을 응시한 '추진상 과제' ○ 타분야 융합, 신규 분야의 참가를 재촉하는 '지원 체제', '인재 교육', '아웃리치(Outreach)'의 방향 ○ 국제 경쟁력의 보다 정확한 파악과 분석에 근거한 독자성, 특징을 살린 연구 분야의 창출, 전개의 전략 ○ 뇌신경 분야의 결속 강화, 문제 의식, 목적 의식의 공유와 정책 제언 등 협력 강화를 응시한 학회간 제휴 방법 ○ 임상 연구를 지탱하는 인재 육성과 배치에 적절한 의학 교육의 방향 ○ 대규모 데이터, 부검 뇌 리소스, 모델 동물 등의 연구 시료의 적절한 수집, 관리, 분배의 기능을 가진 조직의 항구적인 설치 ○ 뇌신경 질환과 관련한 역학 연구의 적절한 추진 전략의 입안과 항구적인 지원 체제의 구축 - 목차 - 1. 분과회 개최까지의 진행 2. 뇌신경 분야 분과회 개최 보고 3. 향후 전망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1015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