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과학혁신부 (MSI: Ministry of Science and Innovation) 와 { 예전에 연구과학기술부 (Ministry of Research, Science and Technology) 이었음 } NZBIO 는 뉴질랜드의 바이오 기업들의 성과와 성장을 계측하고 추적할 수 있는 역량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 그래서 뉴질랜드의 바이오 산업에 관한 경제 보고서 (2 년에 한 번 발행함 ) 를 새로 공개하는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하였다 . 본 보고서에서 유념한 목표는 다음 두 가지이다 : 1. 성과 및 성장을 시간의 흐름에 맞추어 계측하기 2. 뉴질랜드 바이오 기업들의 성공과 역량을 조명하기 뉴질랜드 바이오 기업을 위한 환경과 성과를 기술하는 것 말고도 뉴질랜드의 바이오 산업이 뉴질랜드가 세계와 겨룰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분야 및 경제 활동과 어떤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 다른 OECD 국가들과는 어떻게 비교할 수 있는 지를 입증하는 것 또한 본 문서를 제작한 목표의 하나다 . 보고서의 제 1 장은 경제 및 실업계의 환경 , 그리고 바이오 기업과 정부의 자금지원이 뉴질랜드의 바이오경제 전략과 어떻게 어우러지는 지를 설명한다 . 제 2 장은 뉴질랜드 바이오 기업의 성과를 설명한 주요 마당이다 . 가장 중요한 발전 내용을 조명한 뒤 , 이를 다른 OECD 국가에서 나타난 경향과 비교한다 . 이를테면 ,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서다 : - 조직과 직원의 숫자 - 재정적 성과 ( 소득 , 지출 및 순 이익 ) - 경제에 기여하는 바 , 상업적 초점 및 제품 출시 - 소득원 , 비즈니스 모델 및 공기업 성과 - 특허 , 제휴관계 및 연맹 - 상업화의 경로 ndash; 임상 시험 제 3 장은 지역의 역량에 관한 내용으로 , 바이오 기업의 활동 및 역량을 지역의 지정학적 분포로써 설명했다 . 제 4 장은 뉴질랜드 바이오 기업들의 성장을 저해하고 있는 여러 요인에 대해 설명하며 , 연구와 상업화를 가로막는 걸림돌에 대해 의논한다 . 뉴질랜드의 바이오과학 분야는 뉴질랜드가 이미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몇 가지 핵심 산업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 바이오과학에 투신한 조직들은 지출의 78% 를 바이오경제 내 1 차 응용에 쏟아 붓고 있으며 , 8% 는 건강 , 13% 는 산업과 환경 ( 바이오가공 및 바이오제조가 포함됨 ) 에 지출하고 있다 . 이것은 뉴질랜드의 거래 (trade) 현황과 매우 닮은 꼴이다 . 바이오경제 3 대 부문에서 진행되고 있는 바이오과학 활동은 대다수 OECD 국가들에서 관측되는 분배 양상과 차이를 나타낸다 . 뉴질랜드의 바이오과학 조직들은 대다수 OECD 국가들과 비교해 , 대체로 규모가 작으나 , 뉴질랜드의 비 바이오과학 기업들과 견주면 작다고 할 수도 없다 . 해외 투자도가 낮긴 하지만 , 기업이 엔젤 투자 단계 너머로 팽창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 투자자들과 구축한 관계를 통해 시장 , 고객 , 테크놀로지 , 역량 등에 다가갈 수 있게 하는 꼭 필요한 역할을 하리라 기대된다 . 목차 NZBIO 서문 도입 정보의 출처 목차 요약 1. 2009 년도 뉴질랜드 바이오기업의 현황 2. 바이오과학 조직의 성장 3. 지역의 역량 4. 도전과제 맺음말 부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