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뉴질랜드는 신지식을 창출하고 경쟁력 우위를 확보 및 유지하기 위해 바이오기술(biotechnology) 로드맵을 개발하고 실행계획을 마련하였다. 현재 뉴질랜드의 바이오기술에 대한 투자는 OECD 국가 중 가장 많은 전체 정부 R D 투자 중 25%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바이오기술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뉴질랜드는 NZBio라는 기구를 설립할 예정이다. NZBio는 기술 상업화, 효율적인 정부규제, 바이오기술에 대한 정보 제공 강화 등의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뉴질랜드는 바이오 로드맵을 작성하여 구체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로드맵 구현에 있어 바이오기술 연구개발은 (1) 높은 생산성, 부가가치, 경제의 다변화 등을 통해 경제변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하며, (2) 자연 환경을 보호하고 환경 친화적인 산업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여 하며, (3) 국민 건강과 복지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하며, (4) 책임하에 개발되고 관리될 수 있어야 한다는 목적을 세웠다. 또한 11개의 구체적인 로드맵 추진 방향을 설정하였다. (1) 정부는 지속적인 지원과 기업과의 활발한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바이오기술에서 기업 참여가 가능하고 바이오기술에 기반한 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2) 해양, 식음료품 분야에서 바이오 연구개발 기회를 실현할 수 있도록 정부와 산업은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3) 신바이오기술 기회로부터 뉴질랜드가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한다. (4) 바이오 의료/의약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계속한다. (5) 바이오기술 연구개발이 상업화까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연구개발 지원 프로세스를 향상시킨다. (6) 바이오다양성(biodiversity)과 바이오보안(biosecurity)을 강화하고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장기적인 연구개발 능력을 향상시킨다. (7) 새로운 지속가능한 개발 가능한 분야에 대처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개발 노력을 기울인다. (8) 바이오기술의 환경 및 사회적인 효과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 좀 더 좋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9) 아시아지역의 국가들과 바이오기술에 대한 국제협력 강화 방안을 연구한다. (10) 연구개발 능력 강화를 위해 바이오기술 연구개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한다. (11) 공동연구와 다학제간 연구에 집중한다. 이러한 추진 방향과 더불어 단기적인 실행계획까지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바이오기술에 대한 세부 로드맵 전략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바이오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자원부의 로드맵에는 산업 내 한 분야로서 바이오 융합분야 로드맵이 포함되어 있으며, 국가과학기술지도에는 `건강한 생명사회 지향`이라는 비전에 하나의 전략적 선택 분야로만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바이오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하여 신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 줄 필요성이 있다(바이오 기술뿐만 아니라 6T에 대한 로드맵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 yesKISTI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