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최첨단 연구개발지원 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연구영역 일본학술회의는 진리의 탐구를 위한 「과학을 위한 과학(Sciense for Science)」의 추진과 그 외 예를 들어 이노베이션 과학, 안전을 위한 과학 등 문리 융합형 과학을 포함하여 학술과 사회와의 순환구조의 중심이 되는 「사회를 위한 과학( sciense for Society)」의 추진을 그 사명으로 하는 각양각색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최첨단 연구개발지원 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연구영역으로는 아래의 4개로 분리하여 설명할 수 있다. ① 순수기초과학에 관한 연구영역 ② 인간사회의 지속성에 공헌하는 연구영역 ③ 문리 융합형 어프로치에 의한 신 연구영역 ④ 신 미래형 과학기술에 관한 연구영역 1. 순수기초과학에 관한 연구영역 (과학을 위한 과학) [본 연구영역의 주요한 구체적 예] ○ 연구재료가 되는 생물, 생리활성물질, 혹은 생물정보를 집중적으로 수집 관리하는 생물자원확보에 관련된 영역 ○ 심해생물이나 극한미생물 탐색 등을 위한 해양개발의 영역 ○ 환자모델 등 실험용 포유동물의 유지관리와 동물실험대체법의 연구영역 ○ 생물다양성과 그 보전을 연구하는 영역 ○ 에피게놈(후성유전물질)등 유전자 기능해석을 위한 연구영역 ○ 생체막이나 당쇄(糖鎖: 당사슬)등을 연구하는 영역 ○ 뇌신경과학에 대한 연구영역 ○ 일본의 문화 · 문화적 유산의 다언어 디지털 정보화에 관련된 연구영역 ○ 우주공간, 지구내부, 지구심부 등으로의 근접기술에 관련된 연구영역 2. 인간사회의 지속성에 공헌하는 연구영역 (사회를 위한 과학) [본 연구영역의 주요한 구체적 예] ○ 혁신적 물질변환 · 창성과 그것을 지지하는 기반계측기술의 창성에 관련된 영역 ○ 바이오 기술, IT, 나노기술을 융합한 의료기반구축을 위한 연구영역 ○ 감염증 · 면역 · 열대의학 등에 관련된 연구영역 ○ 에너지와 자원의 지속성에 관련된 연구영역 ○ 바이오매스나 광합성 등, 생물 에너지 생산 시스템의 연구영역 ○ 지구규모의 물 · 식료문제 및 식품기능에 관련된 연구영역 ○ 지구환경문제와 온난화 문제에 관련된 연구영역 ○ 건전한 물순환 · 물질순화에 의존하는 자연환경 공생형 사회의 구축을 위한 연구영역 3. 문리 융합형 어프로치에 의한 신 연구영역 (사회를 위한 과학) [본 연구영역의 주요한 구체적 예] ○ 정보 · 커뮤니케이션을 보증하는 차세대 정보통신 사회의 구축을 위한 연구영역 ○ 건강하며 안전 · 안심한 사회의 실현을 위한 연구영역 ○ 각종 재해에 대한 안전 · 안심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영역 ○ 미래 세대와 현대 세대와의 부담의 균형성, 현대 세대의 환경윤리에 관련된 영역 ○ 노년학을 포함한 건강과학영역 ○ 의료나 식료의 안전성에 관련된 연구영역 4. 신 미래형 과학기술에 관한 연구영역 (사회를 위한 과학) [본 연구영역의 주요한 구체적 예] ○ 대형의 지구혹성 프론티어 연구영역 ○ 차세대의 혁시적 제조 기술의 개발에 관련된 연구영역 ○ 차세대 나노 전자공학 · 포토닉스 및 재료의 창성에 관련된 영역 ○ 간세포 표준화와 재생의료를 목표로 하는 영역 ○ 제약기술개발의 연구영역 ○ 자연 에너지, 재생가능 에너지의 이용에 관련된 연구영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