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아시아의 오픈액세스 육성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4-04-17 00:00:00.000
내용 아시아의 연구 결과물 발표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4년 2월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지표에 게시된 내용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의 연구자들이 게시한 아티클의 수가 1997년 89,000건에서 2011년 212,000건으로 증가했다. 만약 이 추세가 아시아-중국과 같이 선봉에 있는-에서 계속 된다면, 연구 결과물면에서 미국과 유럽 연합을 아주 가까운 미래에 추월할 가능성이 높다. 2011년에 영국왕립학회(Royal Society report) 보고서는 중국이 언젠가 미국을 따라잡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미지 출처 : Fostering open access in Asia http://blogs.biomedcentral.com/bmcblog/2014/03/28/fostering-open-access-in-asia/ 이 같은 추세를 감안할 때, 많은 아시아 연구자들의 오픈액세스 출판이 증가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Joyce Li에 따르면, BioMed Central의 저널 개발 관리자는 베이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오픈액세스는 중국에서 성장하고 있고 또한 오픈액세스 저널과의 제휴를 시작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오픈액세스에 관해 정부로부터 위임되는 것은 평범하지 않다.” 라고 Joyce는 덧붙였다. “사람들은 또한 수시로 라이선싱과 연구 커뮤니티에 무슨 의미를 가지는 지에 대해 명확히 하지 않는다. 그리고 약탈을 일삼는 발행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며, 더 많은 정보와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중국은 BioMed Central 연구팀이 오픈액세스의 출판을 증가할 수 있는 유일한 아시아 국가가 아니다. “일본의 오픈액세스 성장에 관해 더 많은 저자들이 오픈액세스 저널에 게시하고 있다.” 라고 도쿄 Springer의 Natsu Ishii가 말했다. 그래서 어떻게 아시아에서 오픈액세스의 인식을 늘리고 더 많은 정보를 공급하는 한 편, 연구원들을 지원할 수 있을까? 그리고 어떻게 꼼꼼한 기준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보장할 것인가? 이에 관련해 2014년 6월 2일에 개최 될 아시아 COASP 컨퍼런스에서는(Conference on Open Access and Scholarly Publishing in Asia)는 주요 동향 보고와 과제 및 모범 사례에 대하여 첫 번째로 초점을 맞출 것이다. “COASP는 2009년에 시작했고 올해로 6년이 되었다.” 라고 COASPA의 커뮤니케이션 메니저이자 회원인 Claire Redhead가 말했다. “모든 회의는 유럽에서 개최되었고 대표 참석자들은 전문적인 출판 조직, 독립적인 발행인 그리고 대학 관리자를 비롯한 기타 이해관계자들이었다.” “최근 성장하고 있는 오픈액세스의 아시아 대표를 이벤트 주최자로 결정했다.” 라고 BioMed Centeral과 Springer의 부사장인 Bev Acreman이 말했다. 아시아에서 일어나는 회의에서 미래의 출판과 과학 연구의 중요성에 대하여 제공하였다. 미래에는 이 주제가 더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한 가지는 가정할 수 있다. Indicators published in February http://www.nsf.gov/statistics/seind14/index.cfm/digest/outputs.htm#1 Royal Scociety report https://royalsociety.org/~/media/Royal_Society_Content/policy/publications/2011/4294976134.pdf COASP Asia http://www.oaspa-asia-conference.com/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40404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오픈액세스;국립과학재단;아시아 2. Open aceess;NSF;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