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배경 및 개요 2030년의 중장기적인 시점에서 사회경제의 변화 등을 적절하고 유연하게 반영시키면서, 에너지 분야의 기본적 정책 과제인 3E(안정공급의 확보, 환경에의 적합 및 지속적 경제 성장에의 기여)의 동시 달성을 향한 과제 극복에 주목적을 두고, 전력 및 가스 사업이 나갈 방향과 적합한 포트폴리오적 사고에 의한 기술개발 전략을 책정하였다. 포트폴리오란 원래 여러 증권이 들어있는 서류가방의 의미로 자산운용에 대한 다양한 자산 내지 종목을 조합하여 투자를 분산시킴으로써 리스크를 저감하는 수법으로 본 조사에서는 이를 기술전략 책정에 응용하여 장래의 불투명성, 불확실성에 유의하면서 착실하게 정책목표를 달성해 나가기 위한 기술개발에의 자금 배분의 사고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장래의 전개 혹은 상정 외의 사태의 전개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이에 기인하는 리스크 저감에 역점을 둔 기술 전략이다. 본 조사는 전력 및 가스 분야의 기술군에 대해 효용, 개발비, 개발의 난이도의 관점에서 상대 평가를 실시해 전력 및 가스사업 관련 기술의 에너지 수급 과제(사회 니즈)를 해결해 나가는데 있어서의 위치를 조명하고 그 중요성 등을 명확히 하였다. 2. 전력 및 가스 종합기술개발 전략 책정의 흐름 (1) 기술 평가항목의 설정 (2) 기술 동향 조사 (3) 기술의 위치 관계 분석 (4) 기술의 상대 평가 (5) 도입 시나리오 및 로드맵의 책정 3. 에너지 수급의 기본적 과제 (1) 종래의 석유 의존도의 저하, 중동 의존도 저하라는 공급면 제약에의 대응 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 등의 에너지 수요 증대라는 제약에의 대응 (2) 테러에 의한 설비 파괴, 사회 수용성에 기인한 설비 입지 대응의 장기화 등 국내의 안정공급에 관련되는 리스크 등에의 대응과 IT기술의 침투 등에 수반하는 도시 기능의 고도화 등으로부터 현상의 자연재해나 사고를 상정한 안전 대책의 범위를 포함하여 한층 강인한 에너지 수급 구조에의 니즈 고조. (3) 세계 수요는 증대하는 한편, 저출산 및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에서는 에너지 수요가 성숙되어 감과 동시에, 지구 환경면의 대응이나 제도 개혁, 에너지 가격의 상승과 더불어 에너지 수요 구조의 변화와 에너지 공급 형태가 변모할 가능성에 대응. (4) 중국,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 등의 세계적인 CO2 배출량 증대에 대응하고 나아가 새로운 CO2 삭감과 경제발전이 양립하도록 전지구적 대처. 4. 안정공급의 확보 (1) 다양한 에너지 자원 활용(저품위탄, 비재래형 석유, 비재래형 천연가스) -해외의 미활용 자원의 활용 -자급율의 향상(국산 에너지의 활용) (2) 제3자 접속자와 전력 가스 네트워크의 조화(전압, 주파수, 안정도, 단락(短絡)용량, 고조파) 제도 개혁이나 지구 환경면의 대응 등, 에너지 공급형태가 변모해, 전력 및 가스 네트워크 운용자 이외의 제삼자가 대량으로 접속되었을 경우, 전력 및 가스 네트워크의 공급품질이나 신뢰도에 영향이 미치는 경우가 있음. 따라서 제삼자 접속자와 전력 및 가스 네트워크의 조화를 도모해 에너지의 안정공급의 관점에서 현상의 공급 품질과 신뢰도의 유지 및 향상을 목표로 함. (3) 환경에의 적합 에너지의 고도 유효 활용(집중형 발전, 전력운송, 저장, 변환 이용, 분산형 발전, 도시가스 이용, 에너지 매니지먼트) -부처 자원 절약의 관점과 국내의 안정공급 관점에서 수요량 및 에너지 공급량을 줄임. -경제활동과 CO2배출량의 연쇄를 효과적으로 단절함. 5. 목차 1장 전력 및 가스 종합기술전략 책정에 대해 1. 전력 및 가스 종합기술전략의 배경에 대해 1.1. 장래의 불투명성, 불확실성에 대응한 중후한 포트폴리오적 기술개발전략 2. 전력 및 가스 종합기술전략의 책정 순서에 대해 2.1. 에너지 수급의 과제(사회 니즈)의 정리 2.2. 에너지 수급의 과제(사회 니즈)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정리 2.3. 포트폴리오 사고를 적용한 기술개발전략(도입 시나리오, 기술로드맵)의 책정 2장 에너지 수급의 과제(사회 니즈) 해결에 이바지할 전력 및 가스 분야 기술의 도입 시나리오 1. 안정 공급의 확보 1.1. 다양한 에너지 자원의 활용 1.2. 제3자 접속자와 전력 및 가스 네트워크의 조화 1.3. 불가피적 요소에 의한 리스크의 완화 1.4. 수급구조의 다양화에 의한 리스크의 완화 1.5. 기존 설비의 유효 활용, 설비 갱신시의 고도화 기능의 부가 2. 환경에의 적합 2.1. 에너지 고도 유효 활용 2.2. CO2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화석 에너지의 활용 2.3. CO2의 분리, 회수, 저류 3장 에너지 수급의 과제(사회 니즈) 해결에 이바지할 전력 및 가스 분야 기술의 로드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