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세계경제포럼, 하이퍼커넥티드 세계의 위험과 대응방안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10-02 00:00:00.000
내용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사물, 사람, 프로세스를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가 급속히 확대.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확대로 경제적 편익이 창출되는 반면 사이버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도 증가. 세계경제포럼(WEF)은 lsquo;12년 6월 정보통신 네트워크 발전에 따른 사이버 범죄 현황과 대응 방안 보고서를 발표 1. 정보통신 네트워크 발전에 의한 변화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사물, 사람, 프로세스를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가 급속히 확대 ○ 현재 전세계 2억명 이상이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으며, 이러한 숫자는 사물 인터넷* 발달에 힘입어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 *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 자동차, 가전제품 등 모든 제품에 주소를 넣어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기술 ○ lsquo;15년 무선기기 생성 데이터양이 유선기기 생성 데이터양을 넘어서고, lsquo;20년 인터넷 연결 기기가 500억 대를 상회할 것으로 분석 □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발달은 기업, 정부, 사회, 일상생활 등 다방면에서 막대한 변화를 초래 ○ (사회구조의 변화) 기존의 중앙집중적이며 위계적인 사회구조가 분권화된 네트워크형으로 변화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발달에 따른 사회구조의 변화 - lsquo;명령과 통제 rsquo;에 기반한 사회구조에서 개인이나 조직이 서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다수의 접합점으로 구성된 사회구조로 전환 ○ (국가 인프라의 변화) 정보통신 네트워크가 국가 인프라의 중요 구성 요소로 편입되면서 생산성 향상, 기업 성장, 일자리 창출에 기여 2. 사이버 위험과 대응 방안 □ 정보통신 네트워크가 발달과 함께 사이버 위협이나 사이버 범죄 등에 노출될 위험성도 증대 ○ 사이버 범죄(cyber crime)는 컴퓨터, 통신, 인터넷 등을 악용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행해지는 범죄로, 그 규모는 연간 1조불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 사이버 범죄는 핵티비즘형, 범죄형, 국가주도형, 테러형, 산업스파이형으로 구분 - 최근에는 기업이나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한 핵티비스트* 그룹의 디도스(DDoS) 공격이나 홈페이지 변조 등이 빈번히 자행 * 핵티비즘(hacktivism)은 정치사회적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해킹하거나 목표물인 서버컴퓨터를 무력화하는 등의 기술을 만드는 운동 - ID, 지식재산권, 자금 등을 훔쳐내는 사이버 범죄 역시 성행 사이버 위험 요소와 대응 방안 ○ 사이버 범죄는 기술, 프로세스 또는 사람의 행동 상에서 취약한 부분이 노출될 때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취약점은 사고나 잘못된 관행에서 비롯 □ 사이버 범죄는 자산과 평판이라는 범주에서 개인, 기업, 정부에 악영향 ○ (자산 측면) 데이터 통합성 #65381;가용성 #65381;보안성 손상, 네트워크 및 연결 장비 훼손, 사업 연속성 단절, 관련 운영비 상승, 지재권 도난으로 인한 경쟁력 하락 등의 결과가 초래 ○ (평판(reputation) 측면) 신뢰도 하락과 그에 따른 고객 및 매출 손실, 협력체 이탈, 투자 및 자금조달 감소 등의 결과가 초래 □ 현재 일반 정책이나 규제, 공동체 대응 등 사이버 범죄에 대한 여러 대응 방안들이 시행되고 있으나 보다 체계적인 방안이 필요 ○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사이버 범죄 관련 정책이나 규제는 현재의 사이버 패러다임을 반영하는데 한정돼 있으며, 공동체 대응 역시 정보공유, 상호협력, 협력대응 정도에 머물러 있는 상황 ○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 저장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모델 개발, 관련 위험 수량화를 통한 위험 이전 시장* 개발을 촉진, 온라인 인증 내장 인터넷 아키텍처의 배치 등 체계적 대응이 필요 * 사이버 위험 이전 시장 : 사이버 범죄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자산 및 평판 리스크를 제 3자로 이전하는 시장으로 보증, 보험, 기타 리스크 이전 방법 등을 포함 3. 세계경제포럼의 lsquo;사이버 회복력 파트너십 구상 rsquo; □ 정보통신기술이 국가경쟁력 제고에 필수적인 만큼 사이버 안보는 경제 안보와 직결되고, lsquo;사이버 회복력 rsquo; 은 경쟁력의 척도로 인식 ○ lsquo;사이버 회복력(Cyber Resilience) rsquo;은 사이버 상의 공격이나 사고에견뎌내는 시스템과 조직의 역량으로, 시스템 실패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과 회복에 걸리는 평균 시간의 조합으로 측정 ○ lsquo;사이버 회복력 rsquo;에서는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로 컴퓨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이버 위험 관리를 위해 총체적 시각을 갖추는 것이 중요 □ 세계경제포럼(WEF)은 lsquo;12년도 연례회의에서 사이버 안보를 위한 rsquo;사이버 회복력 파트너십(Partnership for Cyber Resilience) lsquo; 구상 ○ (의의) 산업계 주도로 출범한 lsquo;사이버 회복력 파트너십 rsquo;은 사이버 안보를 위한 기업의 리더십 발휘, 기업 표준 구축, 보안 문화 고취 등의 권고 사항을 제시 - lsquo;사이버 회복력 파트너십 rsquo;은 사이버 안보과 관련해 사회 전반에 필요한 공동의 요건을 찾아내는 첫걸음으로 평가 ○ (원칙) lsquo;사이버 회복력 파트너십 rsquo;은 상호의존성 인식, 리더십의 역할, 통합적 위험관리, 협력 독려 등의 원칙을 제시 - 모든 당사자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상호의존적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회복력을 갖춘 사이버 공간 창출을 위해 노력 - 사이버 위험 관리에서 최고 책임자들의 리더십을 발휘 - 공급자나 고객의 사이버 보안 인식 개선을 독려 ○ (가이드라인) lsquo;사이버 회복력 파트너십 rsquo;은 기업들이 사이버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 충족시켜야 하는 최소한의 지침을 제시 - 기업 경영진들은 전체적인 위험 관리 차원에서 사이버 위험 관리 프로그램 개발 #65381;시행 감독을 실시 - 사이버 위험 관리 프로그램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기업 전체의 위험 관리 프로그램에 통합 - 가치사슬 상에는 여러 기업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이버 보안에 대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질 수 있으므로, 제 3자 업체나 공급자와 계약을 맺을 때에는 관련 보안 조항을 명시 - 사이버 보안 프로세스와 규제 요건이 업종, 사법제도, 시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 ○ (자기 평가) lsquo;사이버 회복력 파트너십 rsquo;은 기업의 고위 경영진들은 조직의 사이버 회복력 역량에 대한 내부 검토를 실시해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할 것을 권고 □ 세계경제포럼은 사이버 위험 대응을 위해서는 lsquo;사이버 회복력 파트너십 rsquo; 이외에도 다양한 민관협력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미국과 유럽의 사례를 제시 ○ (미국) IT 정보공유분석센터(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haring and Analysis Center, IT-ISAC) - lsquo;00년 설립된 비영리 기업으로 IT 부문에서의 보안 사고, 위협, 공격, 취약점, 해결책, 대응방안, 모범사례 등에 관한 정보 교환, 수집, 분석, 보고 등을 수행 - 현재 24개 회원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 정부와 협력해 공공부문에서의 보안 위협이나 취약점 관련 정보를 교환 ○ (유럽) 유럽 회복력 민관파트너십(European Public Private Partnership for Resilience, EP3R) - lsquo;09년 유럽집행위원회가 rsquo;유럽 회복력 민관파트너십 lsquo; 구축을 위한 rsquo;중요정보인프라보호 lsquo; 정책을 채택 - 유럽연합 정보사회총국(DG-INFSO)와 유럽네트워크정보보호원(ENISA)이 주관하고, 정보통신 분야 운영업체, 제조업체, 규제당국, 회원국 등이 참여 - 산업계의 보안 및 회복력 개선을 위해 해결해야 하는 과제와 장애 요인 등을 논의하고 정책 우선순위 #65381;목표 등을 제시 출처 : 세계경제포럼 (2012.6)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12000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