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연구 기반을 둘러싼 과제 □ 예산을 수반한 시책과 시스템 개혁을 적절히 조합한 대응을 실행하여, 연구 기반을 활용한 연구개발력, 국제 경쟁력의 최대화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 □ 정부에서 연구 기반 전체를 조망한 논의와 대응이 실시하는 것이 필요 □ 분야의 벽, 대학과 기업의 벽, 부처간의 벽을 넘는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정책을 견인하는 종합적이고 일체적인 연구 기반 전략의 책정과 실행이 불가결 2. 필요한 대응 □ 산학관에서 공용 가능한 연구 시설·설비의 확대 ○ 공용을 실시하는 기관에 대한 지원의 발본적 강화 - 첨단의 대규모·중규모 시설에 대해서는, 가동률, 외부 공용율의 향상과 첨단성 유지를 촉진 - 소규모이며 범용성이 높은 기기에 대해서는, 기기를 일정 정도 집약한 외부 이용 체제의 구축을 촉진 - 대학공동이용기관 등의 첨단적인 연구 시설이 산업계를 포함한 외부 이용 체제를 구축하는 경우, 적극적인 지원 실시 ○ 공용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 개혁 - 모든 공모형 연구비에 대해, 연구 설비·기기 등의 유효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도입 - 각 기관에서의 연구 시설·설비 등에 관한 정보의 일원적 파악, 공용 대응을 담당하는 전문 조직의 정비, 평가 시스템의 도입 등의 대응을 촉진 ○ 정부 등의 연구개발 프로젝트에서의 이용 촉진 ○ 해외 이용자를 위한 검토 착수 □ 연구 시설·설비간의 네트워크 구축에 의한 편리성 향상과 혁신적 연구 성과의 창출 ○ 최첨단 대형 시설간의 제휴 - 시설간 제휴를 위해 필요한 기반 정비나, 복수 시설을 이용한 연구 대응을 실시 ○ 공용 플랫폼의 구축 촉진 - 기술 선도형 : 최첨단 기술을 핵심으로 하는 동일 기술 영역의 시설·설비군을 제공 - 과제 달성형 : 달성해야 할 중요 과제(예: 신약 개발, 신재료 개발)에 근거해, 필요한 시설·설비군을 제공 - 지역 제휴형 : 현지 요구를 반영해, 해당 지역의 연구자에게 지역 내 다종 다양한 연구 시설·설비를 제공 ○ 전체 네트워크의 구축 - 국가 전체의 공용 시설·설비의 포괄적인 네트워크를 구축 □ 이용자 요구에 근거한 기반 기술·기기의 개발과 이의 효과적 이용 ○ 이용자 시점에 선 혁신적인 기반기술·기기의 개발 ○ 정부의 연구개발에서 국산 연구 기기가 적극적으로 이용되기 위한 시스템의 검토 착수 □ 대형 연구 시설의 정비에 관한 국가 전략의 입안 ○ 최첨단의 대형 연구 시설의 계획적인 고도화, 라이프 사이클 모델 구축을 위한 검토를 착수 ○ 산학관의 광범위한 연구자가 이용 가능하고, 향후 전략적으로 정비해야 할 대형 연구 시설에 대한 검토를 착수 □ 연구 기반을 지탱하는 인재의 육성·확보 ○ 대학, 독립 행정법인 등에서의 기술자 및 연구 지원자를 육성해 나가는 대응 촉진 ○ 뛰어난 실적을 가진 중견 연구자·교원의 공용 대응으로의 참여, 직원 및 기업 연구자를 위한 교육 촉진 ○ 학생 및 신진 연구자가 최첨단 시설·설비에 접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 3. 연구개발 플랫폼의 구축 □ 산학관에 폭넓게 개방된 이용 지원 체제를 가지는 첨단 연구 시설·설비를 구성 □ 서브 플랫폼이 주요한 활동 단위가 되어, 이를 종합하여 전체 네트워크를 구축 □ 연구개발 플랫폼의 첨단성 유지 및 고도화 □ 연구개발 플랫폼을 기능시키기 위한 핵심적 기관을 정비 [목차] 1. 연구 기반을 둘러싼 현상과 과제 2. 필요한 대응 3. 연구개발 플랫폼의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