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대학의 연구력 강화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11-01 00:00:00.000
내용 □ 연구 개발과 산업 경쟁력 ○ 연구 개발·산업·지식재산/표준화의 삼위일체의 전략 - 연구 개발 전략 ·기간 산업의 제품력 강화와 새로운 성장 산업 창출 ·연구 개발부터 생산기술까지의 원활한 대응 ·연구 개발과 산업 전략과 지식재산/표준화 전략과의 시너지 효과 ·오픈 이노베이션과 글로벌 R D의 추진 ·인재육성 - 산업 전략 ·강한 산업을 보다 강하게 ·새로운 강한 산업을 구축 ·산관 일체로 새로운 시장·고객을 개척 - 지식재산/표준화 전략 ·지식재산의 창조·보호·활용 ·국제 표준의 획득 □ 대학의 연구력 강화를 위한 정책 시점 ○ 연구형 대학을 구축, 평가, 운영해 나가는 구조와 전략 - 단순한 강화가 아니라 세계의 탑 러너(top runner)를 목표로 하는 시책 - 정책 결정 및 운영과 관련된 책임 있는 싱크탱크 기능 ·과학기술정책연구소, 연구개발전략센터의 정책 입안 능력의 향상과 활용 - 산업·사회구조 개혁을 견인하는 전략 ·국가 전략(산업·사회구조의 변혁)과의 정합 ·명확한 비전 구축과 이에 합치한 운영 ·연구 전체의 포트폴리오 설계 : 순수 과학, 목적형 기초 연구(단기·중기·장기), 분야, 규모 등 ·종합 대학과 특성화 대학의 균형 ·대학의 조직 개혁을 지원 ·PDCA(Plan, Do, Check, Act)를 순환시키는 구조와 평가의 지표, 수법의 확립 : 신규성, 국제 경쟁력, 산업 경쟁력, 국제 협력, 지식재산·표준화 등 □ 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대학의 연구력 강화(대학으로의 기대) ○ 연구력 강화를 위한 대학 - 우수한 리더에 의한 프로젝트의 계속적 매니지먼트 - 리더의 역할, 권한, 책임의 명확화 - 프로젝트의 유연한 재검토 - 산업계의 요구에 따른 목적형 기초 연구의 충실 - 연구력의 지표, 제휴 지표, 내부 평가의 구조 ·질 높은 논문, 산업계로의 공헌, 지식재산·표준화 활동 등 ·산학관의 인재 유동화, 인턴쉽 확대, 기업 퇴직자 활용 등 - 오픈 이노베이션의 장의 구축과 활용 - 대학에서의 조직 개혁은 필수 ○ 연구력의 포트폴리오, 산학관의 포트폴리오 - 산업계·사회의 요구가 일치한 연구 과제의 포트폴리오 - 기존의 산업 기반을 지탱하는 연구와 신규 산업을 창출하는 연구 - 넘버원 지향과 온리원(only one) 지향의 연구 - 시즈 푸쉬(seeds push)형과 니즈풀(Needs full)형의 연구 - 신기술 탐색형 이노베이션과 기존 기술 통합형 이노베이션 *제49회 학술분과회(2012.10.24)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20172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