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학술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 활용 능력의 접점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3-04-19 00:00:00.000
내용 ACRL은 보고서 `학술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활용 능력의 접점 : 변화하는 학술 환경을 위한 전략적 협력 관계 만들기`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의 집필진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술 커뮤니케이션과 정보활용 능력 간의 다음의 세 가지 접점에 대한 연구 및 보고를 담고 있다. 1. 학문 유통의 환경(학문적 접근, 학술 출판 환경의 변화, 콘텐츠 소비자 및 제작자가 될 학생들에 대한 교육 포함) 2. 디지털 활용 능력(새로운 기술과 권한 이슈 교육, 다양한 유형의 비텍스트 콘텐츠 등장 등 포함) 3. 우리의 변화하는 역할(학문을 위한 새로운 인프라의 구축에 필수적인 사항과 교육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법에 대한 고찰을 포함) 미국대학ㆍ연구도서관협회(ACRL) 학술 커뮤니케이션 위원회의 전 위원장이었으며, 다트모스 대학 도서관 디지털 정보원 및 학술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의 총감독을 맡고 있는 Barbara DeFelice는 “이 3가지 이슈는 학술 정보 환경의 엄청난 변화에 맞서 주제전문사서를 전략적으로 재배치하여 도서관이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라고 설명했다. 각 이슈들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보고서는 다양한 배경에 있는 사서들이 소속 대학 환경 내에서 정보 활용 능력과 학술 커뮤니케이션 간의 협력을 실행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전략을 제안했다. 캔자스 대학도서관 교육 서비스 분과장 겸 ACRL 학생 교육 및 정보활용 능력 위원회장인 Erin Ellis는 “정보 활용 능력과 학술 커뮤니케이션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변화하는 학술 환경에 대응하는 중요한 전략입니다.”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의 내용에 따르면, 이러한 이슈에 대한 중요한 답변을 설명 및 분석한 후, ACRL 및 연구 도서관 단체, 기타 도서관 운영자에서 실행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목표를 제안했다. 1. 교육학과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통합 : 사서의 정보 활용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2. 새로운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정의 개발 : 교육학과 학술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발전시키는 것 3. 조직적 변화에 대한 선택사항 분석 4. 공개적 지원 추진 ACRL 연구 및 학술환경 위원회장 및 듀크 대학 저작권 및 학술 커뮤니케이션 분과장인 Kevin Smith는 “우리는 이러한 목표가 도서관이 변화하는 디지털 정보환경에 맞서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 생각합니다.”라고 했다. 이 보고서는 PDF와 전자출판 형태 모두로 이용가능하며, 의견 및 제안을 자유롭게 개시할 수 있다. 또한 Nexu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Scholarly Communication에서 출판된 ACRL book Common Ground(Stephanie Davis-Kahl, Merinda Kaye Hensley 편)을 보완한 내용이다. 보고서 및 다양한 변화에 대한 ACRL 리더 토론회에 참가를 권유한다. 4월 12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개최될 ACRL 2013 회의에서 이와 관련한 프레젠테이션이 있을 예정이다. 이미지 출처 : Intersections of Scholarly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http://www.flickr.com/photos/acrl/8589431195/ 전문 : Intersections of Scholarly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3040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정보활용능력; 학술 커뮤니케이션; 2. information literacy; scholarly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