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IEA, 강대국과 개도국들의 제2세대 바이오연료 생산 가능성과 전망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12-15 00:00:00.000
내용 지난 10 년 간 바이오 연료는 그 생산량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전 세계 수송 연료의 1.5% 를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 브라질 , 중국 , 대만 등 비 OECD 생산국 및 주요 국가들이 전체 바이오 연료 공급량의 40% 가량을 생산하고 있다 . 그러나 주로 식량 작물을 이용해 생산되는 제 1 세대 바이오 연료의 지속 가능성과 , 환경 및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많은 이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 만약 수송 부문에서 상당한 배출 감축이 진행되어야 한다면 , 바이오 연료 기술은 순 수명주기 온실 가스 (GHG) 배출 감축 면에서 보다 효율성을 지녀야 하고 , 동시에 사회적 , 환경적 지속성도 갖추어야 한다는 데에 여론이 모아지고 있다 . 대부분의 제 1 세대 바이오 연료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 소위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가 주목을 받고 있다 .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는 공급 원료의 선택과 재배 기술의 개발 여하에 따라 쓰레기 소비 및 황무지 활용 등의 이익을 가져다 줄 가능성이 있다 . 지금까지 R D 프로젝트는 여러 선진국들에서만 진행되어 왔으며 , 브라질 , 중국 , 인도 등 대규모 신흥 국가들도 포함된다 .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의 향후 생산 가능성 및 관련 기회와 제약을 파악하고 상이한 경제적 , 지정학적 조건 하에서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 산업을 성공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기본 구조를 평가하고자 본 보고서를 제작하게 되었다 . 이 때 멕시코 , 비 OECD 국가 4 개국 ( 브라질 , 중국 , 인도 ,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 과 , 아프리카 및 동남 아시아의 3 개 개도국 ( 카메룬 , 탄자니아 , 대만 등 ) 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 비록 본 보고서가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에만 초점을 맞추고는 있지만 , 일부 제 1 세대 바이오 연료가 개도국들에게 잠재적으로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 최근 발표된 IEA 보고서에 그 상세한 현황이 수록되어 있다 . 본 보고서 제작을 위해 수행한 프로젝트의 분석 결과와 , 8 개국 국가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의 향후 지속적 생산 가능성은 전도가 유망한 것으로 보이나 , 지역적 차가 심한 것으로 사료된다 .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는 가용 농업 찌꺼기와 산림 찌꺼기로 상당량 생산할 수 있다 . 농업 부문과 산림 부문의 가용 찌꺼기를 이용해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이 대단히 중요하다 . 이는 단기적으로 선진국 및 일부 대규모 신흥 국가 ( 예 , 브라질 , 중국 , 인도 등 ) 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데 , 이들 국가는 충분한 자금 지원과 R D 역량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 기술을 배치하는 데 성공하기 위해서는 향후 10-15 년 간 집중적인 RD D 활동을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 . 기술의 발달은 OECD 국가와 , 충분한 RD D 역량을 갖춘 브라질 , 중국 , 인도 등의 신흥 국가에서 주로 발생할 것이다 .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가 개도국들에게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주기 위해선 보다 상세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 이러한 연구에는 기술 개발의 로드맵 , 상업적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 생산이 미칠 영향에 대한 평가 , 가용 토지에 관한 데이터 개선 등이 포함된다 . 목차 정황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 : 잠재력과 전망 -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의 현황 - 향후의 바이오 연료 수요에 대한 전망 -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 개발의 동력 - 세계 바이오 에너지 잠재력의 평가 및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 생산에 대한 관점 -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 생산에 리그노셀루로스 (lignocellulosic) 찌꺼기가 기여할 가능성 제 2 세대 바이오 연료 생산의 지속 가능성 - 경제적 효과 - 사회적 효과 - 환경과 GHG 균형에 미칠 효과 - 토양 , 수자원 , 생물 다양성에 미칠 효과 결론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342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