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국, 2009-2010 북극권 연구의 목표 및 목적에 관한 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5-14 00:00:00.000
내용 미국 극지방 연구 위원회 (US Arctic Research Commission) 는 독립 연방 기관으로 , 1984 년 ARPA(Arctic Research and Policy Act: 극지방 연구와 정책법 ) 에 의해 창설되었다 . 상기 위원회는 ARPA 법에 따라 2 년에 한 번씩 미국 극지방 연구 프로그램 계획 (US Arctic Research Program Plan) 에 필요한 핵심 목표 및 목적을 권고한다 . 또 ARPA 법에 따라 미국의 극지방 연구 프로그램 5 개년 계획을 수정해야 되는데 , 본 보고서에서 제시하는 권고들이 그 출발점에 해당한다 . 연방 기관들은 본 보고서에 수록된 각각의 주제에 따라 계획을 수정한 뒤 신규 구상에 착수해야 한다 . 본 보고서는 미국 극지방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연방 기관과 여러 파트너들에게 제공할 구체적인 권고를 담고 있다 .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사무국 (OSTP) 과 관리예산처 (OMB) 또한 본 보고서에 응하여 채택한 계획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연방 정책과 예산을 수립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극지방 연구는 미국이 기후 변화에 적응하고 기후 변화를 완화시키는 방면에서 세계적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기회이다 . 미국 극지방 연구 프로그램은 아래에 소개하는 5 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 1. 극지방 , 극해 ( 海 ), 베링 해 ( 海 ) 의 환경 변화 : SAON( 지속 가능한 극지방 관측 네트워크 ) 을 개발 , ldquo; 운용 rdquo; 하고 , 연방 기관 간 구상인 SEARCH(Study of Environmental Arctic Change: 극지방의 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 의 활동 내역을 보충한다 . 2. 극지방 인류의 건강 3. 민간 인프라 : 알래스카 주는 기후 변화의 극심한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lsquo; 적응 연구 의제 rsquo; 를 개발하였다 . 이 분야에서 향후 출현할 연방 연구 프로그램은 위와 같은 노력을 통합시키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 행보를 택해야 한다 . 또 재생 에너지 및 재래식 에너지 방면에서 극지방의 잠재력은 엄청나다 . 에너지 부 (DOE) 는 극지방 연구 계획을 수립하여 , 알래스카 주가 보유한 막대한 양의 재생 bull;비 재생 에너지를 밑의 48 개 주에 수출하여 국가의 에너지 안보 문제를 해결하도록 권고하는 바이다 . 또한 에너지 부의 극지방 에너지 사무소 (Arctic Energy Office) 를 계속 지원하되 , 메탄 하이드레이트 연구 ( 역내 외 모두 포함 ) 등에 방점을 두라고 권고한다 . 4. 천연 자원 평가와 지구 과학 : 연방 bull;주 정부는 미국 극지방의 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일관된 계획을 수립하여 합의를 도출한 뒤 자금을 지원하도록 한다 . 5. 고유의 언어 bull;문화 bull;민족 목차 총괄 요약 도입 주요 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권고 연구 인프라 참고문헌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127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