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OECD, 농업 연구의 과제 OECD 의 lsquo; 협력 연구 프로그램 (CRP: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지속가능한 농업 시스템을 위한 생물자원 관리 rsquo; 는 연구 과학자들 및 연구소들 간의 협력활동을 강화하고자 1979 년에 수립되었다 . CRP 의 주요 목적은 식량 , 농업 , 산림 및 어업 분야에서 천연자원의 지속가능한 사용과 관련한 정책결정을 위해 과학 지식을 강화하고 관련된 과학 정보와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 CRP 는 어느 때보다 다학문적 환경에서 발전하고 있는 식량 , 농업 , 산림 및 어업 분야의 정책과 과학계에 모두 정착되어 있다 . 이는 이들 분야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그룹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 식량 생산 시스템이 상호연결된 글로벌 시대를 고려하기 위해서이다 . CRP 는 다음 2 가지 형태의 활동을 통해 실행된다 . bull; 연구 장학지원 (Research Fellowships) ndash; 아이디어의 국제적 교환을 강화하고 국제적 이동과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 각 회원국에 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을 지원한다 . bull; 컨퍼런스 후원 (Conference sponsorship, 또는 공동후원 ): 정책입안자 , 기업 및 학계에 현재 또는 미래의 연구 , 과학적 발전 , 기 회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 연구기관 , 국제협회 등이 조직한 국제 컨퍼런스 , 워크숍 , 심포지엄 , 학회 등 . 2008 년 4 월 부다페스트에서 , CRP 관리국과 해당 운영위원회의 과학고문들은 lsquo; 미래의 비전 rsquo; 주제에 대한 회의에서 CRP 의 미래 방향을 논의했다 . 뒤이어 2009 년 프라하에서 , CRP 는 lsquo; 농업 연구의 과제 rsquo; 에 대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 이 컨퍼런스에서는 CRP 가 2005~2009 년 동안 후원한 컨퍼런스의 전문가들이 모여 , 이 기간 동안의 농업과학의 발전을 검토하고 미래의 과제를 파악했다 . 글로벌 과제의 요인은 식량 안보와 기후 및 환경 변화로 파악되었다 . 프라하 컨퍼런스는 다음의 5 가지 세션으로 구성되었다 ndash; ( ⅰ ) 천연자원 ( 물 , 토양 ) 에 대한 압력 대처 , ( ⅱ ) 식량 및 환경을 위한 지속가능한 농업 제공 , ( ⅲ ) 식량 , 섬유 , 연료를 위한 농업 달성 , ( ⅳ ) 현재와 미래의 식품 안전 : 변화하는 식품 및 농업 관행의 과제 , ( ⅴ ) 규제적 변화 . 프라하 컨퍼런스의 주요 메시지는 지속가능한 농업이 공공 및 민간 부문을 모두 참여시키는 아래와 같은 통합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 - 생산성 확보를 위해 과학 , 기술 , 구조 및 공급사슬을 이용한다 . - 환경적 영향과 자원 압력을 고려하는 실행안을 개발한다 - 가격결정을 통해 농민들에게 적합한 가격신호 (price signal) 를 제공한다 . - 국가적 , 지역적 , 글로벌 차원의 정책결정에 대한 일관된 접근법을 확립한다 . - 사회적 , 교육적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 목차 파트 1: 천연자원 ( 물 , 토양 ) 에 대한 압력 대처 1. 글로벌 농업용수의 수급 균형 2. 물 부족이 식량 생산 경제학에 미치는 영향 3. 글로벌 토양자원 기반 4. 토양자원 : 과학기반 지속가능성 파트 2: 식량 및 환경을 위한 농업 5. 생산 및 생물다양성을 위한 농업 전망 6. 지속가능한 농작물 보호에서 유전자조작 식물의 역할 7.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과학기반 정책 문제 파트 3: 식량 , 섬유 , 연료를 위한 농업 달성 8. 식량 , 에너지 , 환경보호 간의 균형과 글로벌 책임 9. 유전학 기술 , 지속가능한 동물관련 농업 , 글로벌 기후변화 10. 밀 수확량 증대를 위한 문제와 기회 11. 식물성분을 보유한 어분 (fish meal) 의 대체 파트 4: 현재와 미래의 식품 안전 : 변화하는 식품 및 농업 관행의 과제 12. 마이코톡신 (mycotoxin) 연구의 주요 경향 13. 동물기생증이 없는 식품 14. 미래를 위한 , 동물에서 유래된 식품의 변화 15. 미래의 식물 16. 품종개량의 기반인 유전자원 : 현황과 과제 파트 5: 규제적 변화 17. 미국의 동물 생명공학 : 동물복제와 유전자공학 동물의 규제 18. 동물복제와 형질전환 19. OECD 의 생명공학 및 바이오안전성 활동 20. 바이오안전성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