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바이오 시큐리티에 관한 해외 동향 조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06-07 00:00:00.000
내용 ※1유로=1,469.52원(2012.6.8) □ 목적 ○ 본 보고서는 바이오 시큐리티(생물 보안)상의 리스크 대응 및 매니지먼트 체제를 정비 시에 필요한 사항을 검토하고, 향후의 바이오 시큐리티 정책 추진을 위해 새로운 조사 검토가 필요한 항목을 정리한 내용임 ※ 바이오 시큐리티(Biosecurity) : 생물작용제와 독소의 허가받지 않은 접근, 보유, 손실, 기술 도난, 오용, 이동, 의도적 방출을 막기 위한 보호, 규제, 책임 있는 조치를 의미 □ 주요 국가의 개별 대응 ○ 미국 - 21세기에 들어 생명과학 연구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이의 듀얼유스(dual use)성이나 바이오 시큐리티의 중요성에 관한 여러 가지 검토를 하고 있지만, 연방 정부 차원에서의 법규제나 행동 규범은 아직 제시되지 않고 있음 - 그러나, 생명윤리연구 대통령위원회에 의한 검토를 비롯해 국립과학아카데미(NAS),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미국과학자협회(FAS), 한층 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공동으로 Virtual Biosecurity Center를 시작하는 등 해당 분야에 관한 관심은 고조되고 있음 ○ 유럽 - 유럽에서는 바이오 시큐리티에 특화한 통일적인 정책 대응을 위한 대처가 국제기관이 주도하는 활동에 추종하는 형태로 진행 - FP6에서 합성 생물학의 안전 및 윤리면의 연구를 하는 SYNBIOSAFE 프로젝트에 3,000만 유로 이상의 금액을 조성하였으며, FP7에서도 TARPOL 프로젝트 등의 지원을 진행 ○ 영국 - 바이오 시큐리티와 관련해서는, 생물병기 금지 조약 강화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영국이 유럽에 대해 주도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음 - 왕립 공학아카데미에서는 합성 생물학에 관한 사회적 영향 및 정책 대응, 장래 예측을 포함한 포괄적인 보고서를 2010년에 출판 ○ 중국 - 중국의 바이오 세이프티 및 바이오 시큐리티 정책과 관련한 시스템은 국제 동향에 준거 - 2000년대에 들어, 중앙정부에 의한 바이오 세이프티 및 바이오 시큐리티에 관한 규제의 철저한 재검토가 진행 - 2002년에는 듀얼유스가 우려되는 재료 분야와 관련한 산업을 통제하기 위해, 생물학적 제제(製劑), 설비, 기술에 대해 라이선스에 의한 엄격한 수출 규제를 창설(2006년 갱신) - 연구자 커뮤니티의 활동에 관해서는, 중국과학아카데미(CAS)가 과학자의 윤리 강령 제정에 관한 대응을 계속 □ 정리 ○ 바이오 시큐리티는 특히 공적자금에 의한 연구 성과에 대한 오픈 액세스의 필요성이라고 하는 개념이 보급되어 있는 현재, 연구자 개개인의 마음가짐, 도덕성만으로는 막지 못할 요소를 갖고 있음 - 즉, 연구자 개인의 상위 계층에 있는 연구기관, 연구자 커뮤니티, 생명과학 관련 과학 행정, 과학 정책, 연구 성과를 영위하는 사회, 그리고 이들의 국제 관련과 같이, 다층적이고 다양한 대상을 상정한 대응을 고려해야 함 ○ 각 국의 관련 조직, 활동에도 상기를 의식한 대처를 볼 수 있음 - 그러나, 개개의 조직 활동에서는 모두를 포괄한 대응이 어렵고, 각 계층에 위치하는 바이오 시큐리티 대응 기능의 효과적인 제휴를 국내외에서 의식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 ○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바이오 시큐리티 대응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으나, 바이오 시큐리티에 특화한 국가 차원의 법규제는 미정비 - 행동 규범 및 가이드 라인의 설치도 일부 국가에서만 실시 ○ 이러한 이유로는, 생명과학의 발전 그 자체에 잠재하는 리스크 예측과 어디까지가 법규제의 대상이 되는지에 대한 범위 설정, 이러한 근거의 제시(기준 설정)에도 생명과학의 지식이 필요하지만, 평가 과학, 규제 과학이라고 하는 관점에 선 생명과학 연구의 축적과 이를 근거로 하는 판단 기준을 확립하기 어려움 [목차] 1. 본 조사 보고서의 목적과 배경, 자리 매김 2. 용어 정의 3. 바이오 시큐리티에 관한 국제 조약 및 의정서 4. 바이오 시큐리티에 관한 국제기관 등의 대처 5. 주요 국가의 개별 대응 6. 일본의 바이오 시큐리티 관련 대응 현상 7. 정리와 향후 전망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20112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