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영국, 창의산업 인력 추산 방법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12-22 00:00:00.000
내용 ¨ 목적 ¡ 영국 문화 , 미디어 , 스포츠국 (Department of Culture, Media and Sport, DCMS) 의 창조적 산업 (creative industries) 분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모순을 내포하고 있음 ¡ 본 보고서는 DCMS 접근방법의 부족한 점을 보충하며 장점을 포함하는 향상된 방법론을 제시함 #8210; 창조적 직업과 연관된 산업에서 총 고용의 비율을 나타내는 창조적 강도 (Creative Intensity) 에 초점을 맞춤 ¨ 주요결과 ¡ DCMS 가 창조적으로 다루는 직업군은 다른 직업군과 비교하여 극미한 예외를 제외하고 산업강도 (Intensity of Industries) 는 평균적으로 25 배 높음 #8210; 하지만 , DCMS 의 산업 선택은 높은 창조적 강도를 가지는 중요한 코드를 배제하고 있음 ¡ DCMS 의 직업 선택은 창조적 직업을 분류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음 #8210; DCMS 가 창조적으로 고려하는 직업의 그리드 점수는 비창조적 직업과 비교하여 상당히 높지만 높은 고용률을 설명하는 코드가 배제되어 있음 ¡ 따라서 , 창조적 강도를 사용한 일관성 있는 분류법을 제안함 #8210; 제안된 분류법은 산업 코드의 일관된 선택에 기초함을 보여주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함 ¡ 제안된 분류법의 베이스라인은 DCMS 분류는 창조적 산업의 소프트웨어 관련 부분이 부적절하게 배제되었음을 밝힘 #8210; 컨텐츠와 인터페이스가 상호 연관된 새로운 디지털 창조적 비즈니스가 배제됨 ¡ DCMS 는 창조적 , 비창조적 직업 구별능력 향상을 위해 SOC2010 분류법을 적용할 계획이지만 본보고서는 SOC2010 으로 전환은 창조적 경제에서 낮은 고용예측을 만들어 낼 것으로 추정함 ¡ 베이스라인 예측은 창조적 경제 고용은 2004 년 8.4% 에서 2010 년 8.7% 로 증가하고 있음 #8210; 창조적 근로자 대부분은 창조적 산업 이외에서 고용되었고 이런 근로자는 2004 년과 2010 년 사이에 10.6% 증가함 ¡ 창조적 산업은 전통적 컨텐츠 또는 단독적인 ICT 행위에 의존하지 않음 #8210; 다른 창조적 작업으로부터 ICT 를 분리하거나 창조적 산업을 줄이는 시도는 성공하지 못할 것임 ¡ 따라서 본 보고서의 민감도 분석은 창조적 직업으로 고려되는 리스트로부터 소프트웨어 직업의 배제 영향을 포함하고 있음 #8210; 이런 분석을 한 후에도 상당수의 인력을 고용하는 스프트웨어 산업은 창조적 직업으로 남아 있고 여전히 창조적 산업에 213,000 개의 직업을 제공하고 있음 ¨ 결론 ¡ 본 보고서는 동적매핑 (dynamic mapping) 접근방법을 기술하였고 그 이유는 창조적 산업을 구별하는 시스템적 방법은 기초적인 데이터에서 작은 변동에 반응하지 않는 분류법을 만들기 때문임 ¡ 강도 데이터 (Intensity Data) 는 비슷한 것끼리 비교가 가능함 ¡ 이러한 비교를 통하여 2004 년과 2010 년 사이에 창조적 경제 고용의 성장은 6.8% 상승한 것으로 예측되었고 이 결과는 동 기간에 비창조적 인력 성장률의 5 배를 상회함 #8210; 2010 년에 2 천 5 백만명이 창조적 경제에 고용되었고 그 중 천 3 백만명이 창조적 산업에 근무함 [ 목차 ] 요약 1. 도입 2. 창조적 강도 (Creative Intensity) 방법의 기원 3. 문제점과 DCMS 분류와 불일치 4. 해결을 위한 첫단계 : 창조적 직업의 정의 5. 두번째 단계 : 창조적 그리드를 사용한 표준 직업군의 평가 6. 세번째 단계 : 엄격한 강도 측정 7. 네번째 단계 : 통계적으로 탄력있는 베이스라인 8. 그리드 테스트 : 창조적 산업에서 역강도 (reverse intensity) 와 직업의 특화 9. 민감도 분석 10. 창조적 경제 : 결과는 무엇을 말하는가 ? 11. SOC2010 으로 이행 12. 결론 13. 참고문헌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20193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