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06년 중국 정부가 ldquo;재생에너지법 rdquo;을 제정한 이후에, 재생에너지 산업은 비교적 빠른 발전을 보이고 있으나, 실제로 다른 기타 신재생에너지에 비해서 바이오에너지 발전은 잰 걸음을 하고 잇는 형편이다.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 수요를 만족할 수 있어서 좋은 장점이 된다. 이용방식도 다양한데, 발전도 가능하며 고체 성형방식의 연료로서 사용되고, 기체 상태나 액체 상태로 가공할 수 있으며 저장과 수송도 비교적 편리하다. 중국의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주로 농림폐기물이 원료가 되고 있으며 2014년에 농업폐기물이4.4억톤, 임업폐기물이 2억톤, 그리고 가금류의 분변이 0.28톤, 생활쓰레기가 0.12억톤, 폐수 처리 후 활성 오니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0.2억톤에 이르고 있다. 이용하는 방식에는 주로 발전과 고체, 기체, 액체 전환이 있다. 현재바이오에너지 발전 용량은 1423만Kw인데 이 중에서 농림폐기물이 약 840만Kw, , 도시폐기물이 420만Kw를 차지한다. 농림폐기물은 주로 화동가 화중에 집중되어 있으며 도시폐기물은 대도시 주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바이오에너지 고체 성형 연료는 각종 furnace에 사용되는데, 볏집이나 옥수수대 그리고 목재의 부스러기가 사용되며, 최근 그 사용량이 비교적 빠르게 증가하고 이다. 2014년 생산량은 700만톤에 이른다. 중국에서 생물 액체 연료는 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인데 발전 속도는 비교적 느리며, 생산량은 각각 28억리터와 11억리터에 이른다. 생산 설비면에서 발전부분에서는 세계 2위이며 액체 생산부분에서는 세계 제 4위를 차지한다. 그러나 에너지 소비면에서 전체 대비 바이오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아직 낮은 편이다. 그러나 미국이나 유럽 일본에 비하면 바이오에너지의 발전 용량이나 고체 쓰레기를 이용한 발전은 훨씬 뒤지는 형편에 있다. 그 이유는 쓰레기 분리 수거가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며, 여러 지방에서 쓰레기를 이용한 발전에서 배출 표준을 초과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액체 연료에 있어서도 미국이 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이 543억리터와 47억리터임을 볼 때 중국보다 훨씬 높다. 원유가격이 낮은 상황에서도 액체 연료의 성장 속도가 미국과 브라질이 각각 3.9%, 1.6%인 반면 중국의 경우 0.3%에 불과하다. 액체 연료에서도 주로 양식 원료를 이용하고 있으며 섬유소와 같은 제 2세대 생물액체 연료는 아직 성숙하지 못하고 있으며 미세조류와 같은 제 3세대 액체 연료는 연구개발 단계에 있다. 그러나 액체 연료의 전체 기술은 다른 국가에 비해 기술차이가 크지 않다. 중국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미국의 경우 대규모로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농업폐기물의 수집도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 비해서 중국은 원료의 수집에 있어서 분산되어 있고 따라서 비용이 높고, 대부분의 폐기물이 방치되거나 태우고 있는 실정이다. 폐기물 발전에서는 분리수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자원 낭비가 심하고, 폐기물 중의 중금속과 유독성 물질이 연소 중에 대량 발생하여 유독성 기체를 발생시키고 있어서 해당지역의 주민들이 반대에 부딪쳐서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중국은 인구가 많고 토지가 좁은 상황에서 양식을 이용한 액체 연료는 어렵고, 제 2, 3세대 생물연료의 단기간내의 대량 생산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풍력과 태양광발전이 활발하기 때문에 이렇나 지역에서 에너지 작물을 심어서 추진하는 것은 더딜 것으로 예측된다. 고체성형 연료의 경우에 장점이 있지만 석탄의 가격이 낮고 시설의 대체에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의 보조가 없이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농업폐기물을 이용한 발전에서 여러 기업이 손해를 보고 있기도 하지만 과학적인 관리를 통해 이익을 내는 기업들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고려할 때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지와 개입 없이는 바이오에너지의 발전은 더딜 것으로 예측된다. 참조:제일재경(第一财经) 2016년 6월 6일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