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유럽연합(EU)은 전 세계의 온도 상승이 2100년까지 섭씨 2도 이내에 묶일 수 있도록 전념하고 있다. 2007년 유럽 집행위는 '전 세계의 기후 변화를 섭씨 2도로 제한: 2020년과 그 이후의 시기를 대비하여'라는 제목의 통신문(communication)을 발표하였다. 이 통신문에서는 이러한 목표 달성의 방안들을 살펴본다. 유럽 집행위원회는 공동 연구 센터 IPTS에서 개발한 시나리오에 관심을 쏟았다. 이 시나리오를 비롯해 시나리오가 기초로 삼은 모델이 보고서에 소개돼 있다. 본 보고서의 발간 목표는 여러 시나리오를 상세히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나리오에서 따르는 접근법과 가설 등도 함께 소개하는 데 있다. 이 시나리오들은 일부 부문의 평형을 추구하는 POLES 에너지 모델과 여러 부문에서 평형을 추구하는 GEM-E3 모델로 구성된 분석 툴을 이용해 개발되었다. 두 주요 시나리오는 다음을 모델링 하였다: 하나는, '평상시(business-as usual)'의 경향을 따르는 기조 시나리오이고, 다른 하나는, 에너지 효율 및 기후 변화 정책(2050년까지 전 세계의 배출량을 1990년대 대비 25% 감축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을 포함시킨 온실 가스 (GHG) 감축 시나리오이다. GHG 감축 시나리오는 모든 부문과 세계의 전 지역이 배출 거래 제도를 완벽히 이행하지는 않는다는 새로운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다. GHG 배출 감축 노력에 더 많은 국가들이 참여하는 것은 상기 섭씨 2도의 온도 상승 제한이라는 목표 달성에 불가결한 요소이다. 위에 소개한 GHG 감축 시나리오에서 선진국들은 2020년 즈음, 30-40 유로/tCO2에 상당하는 탄소 가격 시대를 맞을 전망이다. 또한 전 세계의 산업 부문들은 2030년 즈음 약 65 유로/tCO2에 상당하는 탄소 가격 시대를 맞이하게 될 전망이다. 전 부문에 걸쳐 에너지 절감 사안은 위의 감축 시나리오에 포함된 주요 요소의 하나이다. GHG 감축 시나리오에서 도출한 결과에 의하면, 전 세계의 온도 상승을 섭씨 2도에 묶어 둘 실현 가능한 방안은 존재한다. '유연한 제도(mechanism)'의 활용은 위와 같은 기후 변화 정책의 비용을 한정시키는 데 중요한 몫을 한다. 목차 요약 1 도입 2 방법론 3 기조 및 참조한 시나리오 4 GHG 감축 시나리오 (POLES) 5 GHG 감축 시나리오가 에너지 부문에 미치는 영향 (POLES) 6 GHG 감축 시나리오가 지닌 경제적 파급 효과 (GEM-E3) 참고문헌 부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