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제4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을 위한 해양 과학기술의 중요사항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1-25 00:00:00.000
내용 ※ 100엔=1,295.22원, 1유로=1,632.82원(2010.1.27) 1. 일본의 해양 과학기술 ○ 일본 전체의 해양개발 관계 연구비는 생명과학, 정보통신 등의 분야와 비교해 압도적으로 규모가 작다. - 해양분야의 연구비는 매년 1,000억엔 미만이며, 그 대부분은 대학이나 공적기관 등에 대한 정부 투자에 의한 것이다 - 분야별 연구비 추이(단위 : 억엔) ·생명과학 : 21,333('04) rarr; 23,530('05) rarr;2 5,554('06) rarr; 26,901('07) rarr; 27,425('08) ·정보통신 : 25,926('04) rarr; 28,011('05) rarr; 29,253('06) rarr; 31,513('07) rarr; 30,254('08) ·환경 : 8,252('04) rarr; 8,942('05) rarr; 9,804('06) rarr; 10,771('07) rarr; 11,055('08) ·나노기술·재료 : 6,369('04) rarr;7,692('05) rarr; 8,238억엔('06) rarr; 9,268('07) rarr; 9,907('08) ·에너지 : 8,487('04) rarr; 8,845('05) rarr; 9,476('06) rarr; 10,308('06) rarr; 10,206('08) ·우주개발 : 2,252('04) rarr; 2,415('05) rarr; 2,462('06) rarr; 2,291('07) rarr; 2,224('08) ·해양개발 : 856('04) rarr; 961('05) rarr; 905('06) rarr; 953('07) rarr; 945('08) ○ 타 분야와 비교해 민간투자의 비율, 대학 등에서의 연구 투자도 압도적으로 낮다 2. 미국·유럽의 해양 과학기술 가. 예산 추이 ○ 미국의 해양·지구 과학기술 관계 예산은 일본의 4 sim;5배(군사 연구 예산을 포함)이다. ○ 미국 및 EU에서는 2000년 이후 대폭 예산액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EU에서는 약 2배로 증가하였다. 나. 연구 자금 제도 ○ 미국 'SEA GRANT' - 'SEA GRANT'는 1966년 성립된 National Sea Grant College and Program Act에 근거해, 해양 관련 대학에 보조금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 '연구', '교육', '아웃리치(Outreach, 봉사활동)'의 3개 분야로 구성 - 'SEA GRANT'의 규모는 연간 약 100억엔 정도(그중 30%정도는 기업과의 매칭 펀드 형식에 의해 보조) ○ EU 'The Ocean of Tomorrow' - EU에서는 2007년~2013년에 걸쳐 제7차 체제 리서치 프로그램(FP7)을 실시 (총 500억 유로 규모) - 'The Ocean of Tomorrow'는 인간의 활동에 의한 해양 환경에서의 영향 증대에 따라, 환경과 해양 생태계에의 영향에 대한 연구자금으로 해서 설정 - 2009년 7월부터 3개 테마의 5개 분야 공모(총액 3,400만 유로) - 5개 분야 : 식료·농업·어업·바이오, 에너지, 환경(기후변동 포함), 운수(항공 포함), 사회경제학·인문과학 3. 일본의 해양관련 시책(2010년) ○ 해양의 개발 및 이용과 해양 환경의 보전과의 조화 - 해양자원의 이용 촉진을 위한 기반 툴 개발 프로그램 : 700백만엔(문부과학성) - 메탄하이드레이트의 생산기술 개발 : 4,543백만엔(경제산업성) - 해저 열수광상(熱水鑛床)의 개발을 위한 채광 기술, 환경 영향 예측 수법 등의 조사 : 1,200백만엔(경제산업성) - 3차원 물리 탐사선 등에 의한 석유·천연가스 부존 상황의 조사 : 13,391백만엔(경제산업성) - 해양 환경의 보전 : 95백만엔(환경성) ○ 해양의 안전 확보 : 251,365백만엔(국토교통성, 방위성) ○ 과학적 지견의 충실 - 심해 지구 시추 계획·차세대 심해 탐사기술 개발 등 : 36,786백만엔(문부과학성) - 지진·해일 관측 감시 시스템의 구축 : 1,510백만엔(문부과학성) - 기후변동 적응 전략 이니셔티브 등 : 3,158백만엔(문부과학성) - 해양 조사 추진 및 해양정보 관리·제공 체제의 정비 : 1,073백만엔(국토교통성) ○ 해양산업의 건전한 발전(저탄소화 등) : 60,306백만엔(국토교통성) ○ 해양의 종합적 관리 : 7,207만엔(국토교통성, 농림수산성, 내각관방, 환경성, 외무성) ○ 해양에 관한 국제적 협조 : 203백만엔(외무성, 국토교통성)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022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