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유럽 집행위원회, 지속가능한 수송과 관련 새 프로젝트 개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3-28 00:00:00.000
내용 유럽 집행위원회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수송과 환경 컨퍼런스를 통해서 유럽연합의 대기 질 개선 정책에 부응하는 지속 가능한 수송(Sustainable Transport)에 대한 두 개의 새 연구 프로젝트의 개시를 알렸다. 프로젝트의 조정 기관은 집행위원회 산하의 공동연구센터(JRC)이다. 수송 시스템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 속한다. 사람과 재화의 움직임을 도와준다는 기본적인 역할 이외에도, 이 부문은 유럽의 국내총생산(GDP)에 약 7%, 고용에 5%를 기여하면서 경제에서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보건과 환경에 유해한 영향과 대기 오염이라는 대가를 치르게 된다. 통계에 따르면 대기 질의 악화로 유럽인들의 평균 수명이 9개월 단축되었으며, 이는 일부 회원국들에서 2년까지 이른다. '지속 가능한 수송'으로 신속하게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포토치닉 과학 기술 담당 집행위원은 지적한다. '유럽연합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각종 유해 성분들 및 CO2의 약 1/3이 수송에서 온다. 지금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문제는 걷잡을 수 없이 심각해질 것이다. 오늘 개시된 프로젝트는 이러한 전망에 부응하는 긍정적인 일보가 된다'고 포토치닉 위원은 말했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TRAENVIA(Transport and Environment: an Integrated Analysis)`이다. 리스본부터 키예프(우크라이나)까지 유럽을 가로지르는 수송 통로 개발(Trans-European Corridor V)에 역점이 주어질 것이다. 여러 수송 방식들이 가지는 사회 경제적 그리고 환경적 영향이 검토되고, 서로 통합시키기에 가장 좋은 수단이 모색될 것이다. 특별히, 해운이나 철로와 같이 비도로 수송에 대한 환경적 관점에서의 이점 평가와, 대체 연료(alternative fuels)와 동력전달장치(power trains) 등 새로운 수송 기술들의 성능 연구가 계획된다. 서로 다른 수송 시스템에 의한 배출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작업과 교통 흐름(traffic flow), 체증, 국경 통과, 톨게이트 등의 요소들에 대한 평가 작업은 이미 시작되었다.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헝가리, 우크라이나가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공동 연구센터와 유럽연합에서 평균 국내총생산(GDP)이 가장 높은 롬바르디아 지방 간의 협력이다. 지리, 기후학적 특수한 조건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나쁜 질의 대기에 노출되어 있는 롬바르디아는, 경제적으로 번영을 누리면서 수송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왔다. 이 지방은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과 오존의 수치가 특별히 높게 나타나는데, 입자상 물질 한 가지 때문에도 포(Po) 계곡 지역민의 평균 수명이 1년 이상 감축된다는 통계이다.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for Air Pollution Reduction in Lombardia`로 명명된 새로운 프로젝트를 통해서, 도로 수송으로 인한 대기 오염원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 구상된 기술들이 시험될 것이다. 또한 롬바르디아와 포 계곡의 대기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는 책임자들에게 과학적 지원이 제공될 것이다. Stavros Dimas 환경담당 집행위원은 '대기의 질은 유럽연합 시민들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선언하면서, '국가와 지방 및 지역 당국은 관할 시민을 보호하고 가장 효율적인 지역 대책을 개발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역설했다. 수송 환경 컨퍼런스 관련 웹 사이트: http://transportenv07.jrc.it/ 유럽연합의 제 7차 프레임워크 프로그램 중 수송 분야에 관련된 정보 참조: http://cordis.europa.eu/fp7/cooperation/transport_en.html * yesKISTI 참조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054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