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2009년 지리공간정보 관련 사업 및 예산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10-11 00:00:00.000
내용 1. 서론 ○ 일본은 'GIS 액션 프로그램 2010'(2007년 3월), '지리공간정보 활용추진 기본법' 제정(2007년 5월), '지리공간정보 활용추진 기본계획' 제정(2008년 4월) 등을 통해 지리공간정보의 정비·제공·유통을 촉진하고 있다. ○ 또한, 관계 행정 기관간의 긴밀한 제휴·협력 확보 및 종합적이고 효과적인 추진을 도모하기 위해, 내각관방에 '지리공간정보 활용 추진회의'를 설치해, 필요한 시책을 실시하고 있다. 2. 2009년도 예산 개요 ○ 2009년도 지리공간정보관련 예산은 757.0억엔(지리공간시스템 관련 : 488.0억엔, 위성측위 : 269.0억엔)으로 2008년도 예산 634.4억엔(지리공간시스템 관련 : 452.2억엔, 위성측위 : 182.2억엔)보다 19.3%가 증가하였다. (※100엔= 1303.95원, 2008년 10월 11일 기준) 3. 부처별 예산 및 주요사업 (괄호 안은 2008년도 예산) (1) 내각부(경찰청 포함) : 294백만엔 (206백만엔) ○ 방재 정보 공유 플랫폼 정비 - 방재 관계 기관의 방재 정보를 공통 시스템에 집약해, 정보 접근·입수가 용이한 공통 기반 정비 ○ 휴대 전화 등의 110번(위급 신고 번호) 통보시의 위치 정보 통지 시스템 정비 추진 - 휴대 전화 등으로 110번에 통보한 발신자 위치 파악에 위성 측위 이용 (2) 총무성 : 1,560백만엔 (1,200백만엔) ○ 유비쿼터스 공간 정보 기반기술의 연구 개발 - 장소 정보의 관리·제공을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기반기술 확립을 위한 연구 개발 실시 (3) 외무성 : 1백만엔 (1백만엔) ○ 미일 GPS 회합 - 1998년의 미·일 수뇌 성명에 따라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GPS 이용에 관한 중요 사항을 검토·토의하기 위한 회합 개최 (4) 법무성 : 14,572백만엔 (13,395백만엔) ○ 지적(地籍) 정리 - 지적의 명확화 추진 (5) 재무성 : 108백만엔 (124백만엔) ○ 국유재산 정보 공개 시스템 운용 - 국유재산 정보 공개 시스템의 서비스 강화 (6) 문부과학성 : 14,867백만엔 (9,890백만엔) ○ 육역(陸域)관측 기술 위성 'Daichi' 운용 - 기반 지도 정보의 계속적인 정비·제공에 이바지하기 위해, 관계부처나 기관과 제휴하여, 육역관측 기술 위성 'Daichi'에 의한 지도 작성, 전국 5만 분의 1의 위성 화상 작성 등의 이용 실증 실험 실시 ○ 기술 시험 위성 VIII형(ETS-VIII) - 위성 측위 시스템의 기반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실험 실시 ○ 고정밀도 운항 기술(GPS를 이용한 항공기의 고정밀도 항법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차세대 운항 시스템의 기술개발을 실시. 그 중에서, GPS 수신 단말과 기상 관성 항법 장치를 복합한 항공기용 초소형 항법 장치(위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고정밀도·고신뢰 항법 시스템 연구 개발 추진 (7) 농림수산성 : 12,197백만엔 (11,042백만엔) ○ 농지 정보 정비 촉진 사업(농촌 진흥 지원 종합 대책 사업) -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에 의해 정비된 농지에 관한 지도 정보를 일원적으로 관리해, 관계 기관에 정보를 제공하여, GIS를 활용한 시설 관리나 영농 활동 등 지역에서의 대처를 지원 ○ 어선 위치 정보 관리·분석 - 어선 위치 등을 위성 측위 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시스템 구축·운용 (8) 경제산업성 : 9,060백만엔 (5,735백만엔) ○ G공간 프로젝트 - 지리공간정보의 이용에 관한 기반 정비(데이터베이스 표준화)를 실시하며, 실증 사업을 통한 인지도 향상을 도모하여, 새로운 산업·서비스 창출이나 안전·안심 대책 등을 추진해, 누구나 지리 공간 정보를 이용해 즐길 수 있는 사회 실현 ○ 선진적 우주 시스템의 연구 개발 - 국제 경쟁력 강화, 우주 산업기반 유지를 위해, 위성 시스템의 저비용화·납기단축 실현을 위한 표준화, 자동 운용화 등의 연구 개발 실시 (9) 국토교통성 : 22,829백만엔 (21,668백만엔) ○ 국토 지형 기반 정비 - 기반 지도 정보와 관련된 항목을 포함한 전국의 지형도 데이터를 정비·갱신 ○ 지리 정보 표준화 추진 - 최신 국제 규격 및 지리 정보의 표준화 상황을 조사해, 지리 정보 표준의 개정 실시 ○ 위성 측위를 이용한 항공교통의 안전 확보 및 서비스 향상 - 운수 다목적 위성(MTSAT)을 이용한 위성 항법 보강 시스템을 운용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에 준거한 GPS 보강 정보 제공 ○ 전자 기준점 측량 - GPS를 이용한 측량 효율의 향상을 위해, 전국에 배치한 전자 기준점에 의한 GPS 연속 관측 시스템 운용 (10) 환경성 : 217백만엔 (184백만엔) ○ 생물 다양성 정보 시스템 정비 추진 - 생물 다양성 조건, 생물 다양성 국가 전략 등에 근거해, 자연 환경 보전 기초 조사 등의 데이터와 함께, 생물 다양성 보전에 필요한 관련 정보의 수집·관리·제공을 실시하는 '생물 다양성 정보 시스템'의 정비 실시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26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