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러시아, 북극의 암상 광산 개발을 위한 신기술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1-05 00:00:00.000
내용 러시아는 수년 내에 북극 암상(shelf, 岩床)에 광산 개발을 시작한다. 러시아 회사들은 겨울의 상황이 북극과 거의 흡사한 사할린 섬에서 석유와 가스 채취에 종사하고 있다. 이 사실은 신기술이 바다가 얼음층으로 덮여 있을 때 연구를 하는데 적용되어야 하며 선박과 석유 굴정 장치에 대한 얼음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북극과 St. Petersburg 북극 연구소에 있는 러시아 과학자들은 대기권과 수권의 조건을 조사하고 예상하는 복합체를 적응시키는 새로운 정보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환경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것들을 분석하고 예측하기 위해 디자인 되었다. 그 연구소에서 개발된 정보를 수집하는 그 신기술은 소비자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다. 소비자들은 단체들, 배와 석유와 가스 굴착 장치기 될 수 있다. 북극 암상을 위한 그 진보된 감시와 예측하는 시스템은 극의 수중 기상 정거장, 선박들, 자동 정거장과 인공위성들을 포함한다고 그 연구소의 원로 과학자이면서 소프트웨어 전문가인 Inna Sergeeva는 말한다. '우리는 한 국제적 프로그램 아래 북극에서 설치된 부표들로 부터 얻은 인공위성 정보를 이용한다. 이 부표들은 기온과 압력에 대한 정보를 준다. 인공위성들은 적외선과 가시적인 주파대와 고 해상도의 레이저 이미지 내에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전달한다. 딱딱한 지역에서 환경의 현재 조건에 대한 지도가 정보에 기초하여 그려졌고 예측이 이루어진다. 선박들과 석유와 가스 굴정 장치들은 얼음 층의 상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는다. 그 정보의 소비자들 중에서 Norilsky Nickel 공장에서 나오는 제품들과 사할린-2 프로젝트의 석유 생산자들을 수송하는 것은 선박이다.' 그 석유 생산자들은 얼음 강화 계열의 유조선을 가지고 있다. 그 연구소는 지도를 그리고, 이미지를 프린트하고 얼음 층의 조건에 대해 예상한다. 이 모든 정보는 한국으로 가는 선박들에 전달된다. 그 궤도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그 정보는 St. Petersburg에 있는 연구소에서 분석되고 국제해사위성기구(INMARSAT, International Marine Satellite Organization)와 이리듐(Iridium) 인공위성들을 통해 타르타르 해협에 있는 선박들에 전달된다. 러시아 국가는 천연 가스 독점, Gazprom, 그리고 석유 회사들을 소유하고 있고 LUKOIL 과 Rosneft와 외국 회사들인 Exxon-Mobil, Shell BP 그리고 Conoco 는 그 연구소에서 나오는 정보의 사용자들이다. 그 연구소는 바다에 있는 얼음층의 강도를 시험하는 커다란 규모를 위한 집보된 복합체를 가지고 있다. 그 연구소는 응용된 문제들을 풀기 위해 성공적으로 이용되는 수학적 모델들을 개발했다. 사실상, 그 연구소는 북극과 극동의 바다, 발틱해와 카스피 해에서 러시아와 외국 회사들의 에너지 프로젝트의 한 부분으로서 이 모델을 사용하는 거대한 양의 일을 감지했다. 이 중에서 응축된 가스 매장된 곳은Shtokmanovsky,사할린-1,2 와 5 프로젝트와 North Stream 가스 파이프라인이다. 수중-기상 정보를 공급하는 그 신기술은 북극 암상 개발에 유망하고 Yamal 반도와 그 암상에 있는 매장량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프로젝트들의 실현하는 동안에 사용될 것이다. St. Petersburg에 있는 과학자들에 의해서 개발된 AKMON 복합체는 2006~2007년 국제적 혁신 박람회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수상하였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001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