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EU, 유럽환경청(EEA) 2009 운용 계획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2-23 00:00:00.000
내용 EU, 유럽환경청(EEA) 2009 운용 계획 EEA의 목적과 비전 유럽환경청(EEA: European Environment Agency)은 환경에 관한 독립적이고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EU 조직이다. EEA는 환경정책의 개발, 채택, 실행 및 평가에 관련된 사람들과 대중들을 위한 주요 정보 제공처이다. EEA의 비전은 유럽의 환경 데이터, 정보, 지식 및 평가를 적시에 제대로 제공해주는 세계적인 주요 조직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EEA의 2009년 목표와 주요 활동 EEA의 2009년 운용 계획은 2009~2013년 실행 프로그램의 첫해 계획으로서 총 39,627,000 유로의 예산과 159명의 인력을 기반으로 한다. EEA의 2009~2013년 실행 프로그램의 핵심 목표는 범유럽 및 지역적인 환경 관련 데이터와 지표, 종합적 환경 평가와 주제별 분석을 생성하여 EU와 각 회원국의 환경정책에 적합한 결정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ㅇ EEA의 2009년 주요 활동 #8226; 대기, 기후변화, 생물 다양성, 수질, 해양과 토지 사용에 관한 5개의 환경 데이터 센터에서 정보 서비스 에 착수하고, 취약성과 적응 및 재난 방지와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한다. #8226; 유럽의 공동 환경 정보 시스템을 위한 EEA의 지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온라인 정보 활용과 웹 서비스를 개 발, 장려한다. #8226; GMES(Global Monitoring for Environment and Security: 환경과 안보에 대한 글로벌 감시) 서비스를 위한 현장 데이터를 제공하고 GEOSS(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of Systems: 글로벌 지구관측시스템) 과 연계한다. #8226; 스웨덴의 의장직 하에 발트해의 거시적/지역적 환경 평가를 지원한다. #8226; 종합적인 환경 지수의 개발을 지원한다. #8226; EEA의 주요 조기 경고 간행물 2종류를 제작한다 – Signals, Late Lessons #8226; 2009년 12월 코펜하겐에서 개최되는 UN 기후변화협약 제15차 당사국총회(UNFCCC COP15)를 대비한 기후 변화 검토를 지원한다. #8226; 생물 다양성의 훼손 방지에 대한 경과를 보고한다. ㅇ EEA의 2009~2013년 목표 #8226; 5개의 EEA 환경 데이터 센터와 Reportnet를 통해 EEA의 정보 서비스와 환경 데이터 흐름을 지속하고 확장 한다. #8226; EU 통계청(Eurostat), 공동연구센터(JRC), 환경총국(DG Environment)과의 협의하에 지표, 데이터의 간략 화 및 시기 적합성 등에 초점을 두고 공조한다. #8226; 연구기술개발총국 및 EU 지원의 연구 프로젝트와 공조하여 결과와 성과의 활용도를 높인다. #8226; 다양한 환경 문제에 필요한 정책과 관련하여 주제별 평가, 조기 경고 연구, 전략적 미래 분석 및 정보 평가 등 을 수행한다. #8226; EU 통계청의 지속가능한 개발 지표에 관한 작업을 지원한다. #8226; 정책 목표의 진전, 환경 관련 정책의 효과, 정책 대응에 대한 지표를 감시한다. #8226; EEA의 효과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실시한다. #8226; 기후변화, 생물 다양성, 생태계, 녹색 경제 등의 분야에서 멀티미디어, 사용자 친화적, 다중언어 정보의 형태 를 통해 대중과 정책입안자 및 전문가를 위한 EEA의 전달 기능을 확대한다. 목차 1. EEA의 목적 2. EEA의 2009년 목표 3. EEA 성과의 전략적 지표 4. 2009년 실행 프로그램 5. EEA의 2009년 예산 개요 6. 약어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051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