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국과 핀란드의 고위험.혁신적 연구 동향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8-03 00:00:00.000
내용 1. 개 요 ○ 새로운 과학적 영역의 개척과 혁신은 기존의 점진적 진화과정을 통해 일어하는 과학적 진보와 달리, 전혀 다른 접근과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창출됨 - 이러한 혁신적 연구는 결과의 영향력과 파급효과가 현저하게 크지만, 높은 불확실성과 실패의 위험성을 수반 ○ 근래 여러 국가에서 '고위험 #8228;혁신적 연구'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와 추진이 이루어지고 있음 - 미국의 'Transformative Research', 영국의 'High Potential, High Impact Research', 캐나다의 'High Risk Research', 핀란드의 'Breakthrough Research' 등 ○ 이와 관련하여, 미국 국가과학위원회(National Science Board)와 핀란드 아카데미(Academy of Finland)*의 '고위험 #8228;혁신적 연구' 추진 동향 및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핀란드 과학기술연구 자금지원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연간 연구자금 규모는 260만 유로로 핀란드 연구개발예산의 약 15%에 해당 2. 미국의「Transformative Research」 □ Transformative Research ○ 'Transformative Research'란 기존 과학 #8228;공학의 개념적 이해를 급진적으로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거나, 새로운 과학 #8228;공학의 분야와 패러다임을 창출하는 아이디어로 주도되는 연구이며,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함 ∙Innovation : 새롭고 참신하며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주제일 것 ∙Risk : 기술적 위험성의 존재 또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을 것 ∙Reward : 연구결과가 경제적 #8228;사회적 #8228;지적으로 상당히 중요하여 투자에 대한 보상을 가져다 줄 것 ○ 미국 국가과학위원회(National Science Board : NSB)는 '04년 12월 TFT를 구성하여 Transformative Research 지원에 대한 국립과학재단(NSF)의 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를 진행 - NSF가 Transformative Research를 효과적으로 지원 #8228;촉진할 수 있는 권고안 제시('07.5.7) □ NSF의 Transformative Research 추진상황 및 NSB의 권고내용 ○ 그간 NSF는 SGER*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직 #8228;간접적으로 Transformative Research를 지원해 왔으나, 연구자 입장에서는 Transformative Research에 대한 개방성이나 적극성이 미흡하다는 인식 * Small Grant for Exploratory Research : NSF가 '90년부터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새로운 아이디어 및 실패위험이 높은 연구에 대해 NSF 예산의 5%까지 지원 - SGER 프로그램 지출은 '04년 현재 예산의 0.5%에 불과하며, 자연재해 관련 연구 지원 등 본래 미션에 부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추진*되어 왔다는 내외부의 비판에 직면 * 사업별 최대 2년이라는 짧은 지원기간, 총 20만 달러라는 예산 제약 등을 원인으로 지적 ○ Transformative Research 지원을 위한 새롭고 차별화된 프로그램 설계 필요 - TRI(Transformative Research Initiative)를 개발하여 변혁적 아이디어를 가진 연구자나 팀을 발굴하고 폭넓고 장기적인 지원을 통해 연구역량과 자유를 발휘할 수 있도록 고무시킬 필요 - 연구과제 선정 #8228;평가에 있어 실적평가시스템(Merit Review System) 및 전문가 평가(Peer Review)에 의존하지 않고, 행정적 #8228;제도적 제약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 3. 핀란드의「Breakthrough Research」 □ Breakthrough Research ○ 'Breakthrough Research'란 현저한 불확실성과 폭넓은 영향력을 내포한 혁신적인 연구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 ∙연구자 또는 연구팀의 경험과 실적이 부족(신진과학자 참여 유도) ∙기존 연구실적이 전혀 없는 새로운 영역을 추구하는 연구자 또는 연구팀 ∙새로운 분야에 적용되는 방법론과 기술의 개발 ∙현존하는 이론을 뒤엎는 목적의 연구 ∙전세계적으로 새롭고 테스트되지 않은 아이디어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될 수 있는 연구 ○ '05년 핀란드 아카데미의 'General Research Grants'에 지원한 총 206개 프로젝트*의 제안서에 대하여 '혁신성'과 '위험감수(Risk-Taking)'를 평가해 본 결과 * 해당 분야는 Bioscience and Environment, Health, Phys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등 - 206개 제안서 중 20개가 Breakthrough Research에 해당 - 20개의 Breakthrough Research 제안서 중 45%에 해당하는 9개 프로젝트에 대해 연구자금 지원이 승인되었으며, 이 비중은 일반 프로젝트 승인율 17%에 비교하여 높은 수준임 ※ 물리학(physics) 분야의 연구자금 승인율은 100%(4/4)이며, 제약학(pharmacy)과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분야의 승인율은 0% □ Breakthrough Research 촉진을 위한 핀란드 아카데미의 제언 Breakthrough Research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평가 및 자금지원 기준과 프로세스의 변화가 필요함 ○ 연구자금 배분을 위한 평가(Review practices) - 연구자금 지원을 위한 평가에 있어 '과학적 혁신성'을 주요한 평가기준으로 하되, 연구자의 자격요건 및 연구계획의 세부적인 측면의 평가에 있어서는 기존의 엄격한 기준을 완화하여 적용할 필요 ○ 연구자금 배분(Allocation) - 일반연구자금(General Research Grants) 이외에 Breakthrough Research를 지원하는 새로운 프로그램 마련 필요 ○ 감시 및 사후평가(Monitoring) -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연구주체와 연구자금 배분기관간의 보다 밀접한 상호교류가 필요함 - 프로젝트의 실패도 용인될 수 있어야 하며, 연구의 성공원인 뿐 아니라 실패원인에 대해서도 보고될 필요 ○ 예측(Foresighting) - 기술예측은 연구추세 및 취약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정책도구이나, 예측기술에 포함된 분야가 아니라는 이유로 Breakthrough Research가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 - Breakthrough Research는 기술예측 및 계량분석(Bibliometrics)을 통해 강조된 분야에 국한되어서는 안 됨 4. 정책적 시사점 ○ 우리나라 관련 현황 - 아직 고위험 #8228;혁신적 연구에 대한 개념 정립 및 추진이 미국, 유럽 등에 비해서는 미흡한 상태이나, - NT #8228;BT #8228;IT 등 다학제 #8228;이종기술 간의 융합 등 고위험성의 모험적인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미래유망 파이오니어 사업(과기부)*' 등 고위험 #8228;혁신적 연구가 기획 #8228;추진되고 있음 * 현재 사업에 대한 사전타당성조사 및 30개 과제에 대한 기획연구 수행 중이며, '08년에 추진할 4개 과제 선정 예정('07.11월) ○ 고위험 #8228;혁신적 연구 촉진을 위한 방안 - 주요 기초연구 지원부처 및 연구기관의 고위험 #8228;혁신적 기초연구 예산배정에 대한 가이드라인(또는 법적 근거) 마련 필요 ※ 'America COMPETES Act ('07. 4. 25 미국 상원 통과)'에서는 연방 연구기관 예산의 8% 한도 내에서 고위험 #8228;혁신적 연구개발을 지원하는「Innovation Acceleration Research Program」추진을 규정 - 우수한 신진과학자의 혁신적 기초연구 장려를 위해 전문가평가와 실적평가 중심의 과제선정 및 결과평가 방식을 다양화할 필요 - 미국과 핀란드의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고위험 #8228;혁신적 연구 정착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 관련 정부부처 및 연구기관 장의 리더쉽과 실패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Risk Culture'의 형성이라는 것 * 미국의「Enhancing Support of Transformative Research at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과 핀란드의「Breakthrough Research」보고서를 KISTEP(혁신경제팀)에서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임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07000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