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국가별 우주산업정책 동향 가. 미국 ○ 미국에서는 2009년부터 2010년 상반기에 걸쳐 우주 관련 정책이 크게 전환되었다. - 2010년 2월, 오바마 대통령은 2011년도 예산 교서 발표에서, 지금까지의 미국의 유인 우주 계획을 대폭 변경하고, 이전 부시정권의 유인 달탐사 계획의 중지, 국제 우주스테이션(ISS)의 2020년까지 운용 연장, 민간기업에 의한 유인 수송, 우주기반기술의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 등의 계획을 발표했다. - 2010년 4월에는, 2025년까지 소행성에, 2030년대 중반에는 화성 주회 궤도에, 그 후 화성에 인류를 착륙시킨다는 새로운 유인 우주탐사계획을 발표하였다. - 2010년 6월에는 오바마 정권은 새로운 국가우주정책을 공표해, 상업 우주, 민간 우주, 안전 보장 우주의 우주 활동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국가우주정책에서는, 모든 국가의 우주의 평화적 이용과 우주를 안정되고 생산적인 환경으로서 유지하는 목적을 위해 미국이 우주에서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을 선언하고 있다. ○ 상업위성 분야에서는 대형 통신위성이나 고분해(高分解) 관측 위성에서 여전히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 민간기업에 의한 상업용 발사 로켓이나 우주선의 개발, 2012년을 목표로 한 상업 우주여행의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 나. 일본 ○ 2010년 5월, 우주개발전략본부에서 신성장전략을 근거로 한 '우주 분야에서의 중점 시책'을 발표하였다. ○ 2010년 7월, 우주개발전략본부에서 '달탐사 전략'(세계를 선도하는 로봇 달탐사와 유인 우주 활동으로의 기술 기반 구축)을 발표하였다. ○ 문부과학성(우주개발위원회)에서는 2016년 이후의 국제 우주스테이션(ISS) 운용 계속과 국제 유인 우주프로그램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다. 유럽 ○ 2010년 1월, EU의 유럽위원회는 갈릴레이 측위 위성의 실용기 14기를 발주하였다. - 갈릴레이 위성 측위 시스템은 고도 24,000㎞의 궤도상에 30기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2014년의 운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 한편, 유럽 우주기기 제조사의 신흥국 진출이 활발하여 카자흐스탄, 베트남에서 소형 지구관측위성을 수주하였다. 라. 러시아 ○ 러시아는 소유즈 로켓이나 프로톤 로켓으로 지난 1년간 가장 많은 로켓 발사를 실시하였다. ○ 로켓 발사장으로는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발사장과 러시아 국내의 프레세츠크 발사장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2010년 7월에 새롭게 극동의 보스토치니 발사장 건설을 결정하였다. - 새로운 발사장에서는 신개발중인 차세대 앙가라 로켓의 발사가 2015년에 예정되어 있으며, 유인 비행이나 행성 탐사기의 발사점도 정비할 계획이다. ○ 우주 탐사에 대해서도 착실하게 진행하고 있어, 2010년 6월에는 유럽우주기구(ESA)와 화성 탐사를 목표로 한 장기 폐쇄 환경 실험 '화성 500(Mars 500 Project)'을 시작하였다. 마. 중국 ○ 2009년에는 우주선 '선저우'나 달탐사 위성의 발사가 없고 발사한 로켓도 6기로 적었지만, 2010년에는 10월 1일까지 이미 11기의 로켓을 발사하였다. ○ 현재 Green propellant(저독성 추진제)를 사용한 신형의 대형 로켓 장정(長征) 5호를 개발중이다. 또, 2010년 9월에 하이난(海南) 위성발사센터 건설에 착수하였다.(2013년 완공 예정) ○ 또, 독자적인 우주 스테이션 계획을 통해 2020년까지 중국 첫 우주 스테이션 '천궁(天宮)을 완성시킬 계획이다. 바. 인도 ○ 인도는 자국의 위성과 초소형 위성과의 통합 발사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 2009년 9월에는 PSLV-C14 로켓으로 해양감시위성 'Oceansat-2'와 초소형 위성 6기를 발사하였으며, 2010년 7월에는 PSLV-C15 로켓으로 자국의 지구관측위성 'Cartsat-2B', 알제리의 지구관측위성 'Alsat-2A' 및 기술실증위성 3기를 발사하였다. 2. 상용 발사기와 위성의 수요예측(2010년 sim;2019년 ) ○ 상용 발사기와 위성의 수요예측은 미국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가 매년 예측 보고를 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10년간 수요예측은 다음과 같다. - 상용 정지궤도(GSO) 위성은 연평균 20.7기(합계 207기)로 안정적으로 추이하며, 비정지궤도(NGSO) 위성은 연평균 26.2기(합계 262기)이다. - 한편, 상용 발사기의 수요예측은 GSO 위성용 중형·대형기 분야에서는 연평균 15.7기, NGSO 위성용 중형-대형기 분야에서는 연평균 9.1기, NGSO 위성용 소형기 분야에서는 연평균 2.8기가 예측되고 있다. - 목차 - 1. 우주에 관한 동향 2. 우주산업의 시장규모 3. 국가별 위성 제조수 4. 국가별 발사기수 5. 위성과 상용 발사기의 수요예측 6. 맺음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