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과학재단, 2006 한국의 생물정보학 백서 발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5-03 00:00:00.000
내용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지원하는 국가지정 전문연구정보센터 중 생물학연구정보센터(소장 : 김상욱,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는 2007년 2006 한국의 생물정보학 백서 를 발간하였다. 2002년, 2004년에 이은 세 번째 발간으로 국내 생물정보학 관련기관 총 70여 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개발 현황과 논문, 인력현황, 관련 리소스 등의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또한 생물정보학 관련 연구자 4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국내 생물정보학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동 백서에서는 체계적인 협력과 BT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연구개발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BIT연구기관협의회에 대한 조직구성과 주요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있다. 최근 2년 동안 수행된 생물정보학 관련 과제 건수는 2004년 백서에서 조사된 과제건수에 비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논문 사이트인 펍메드(PubMed)를 통한 국내 연구자 발표논문은 2000년 이후 총 46,527편으로 꾸준한 양적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주요 저널의 경우 2006년도에 활발한 논문발표가 있어 질적으로도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등의 관련 행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생물정보학 관련 연구자들은 선진국과의 연구수준 비교에서 아직은 선진국을 따라하는 수준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났다. 구인구직 현황분석에서는 2005년도에 정규직 비율이 높아지다가 2006년도에 다시 감소되었고, 박사급 인력의 평균연봉 분석에서 2005년도에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2006년도에 감소되는 추세를 보였다. 새롭게 추가된 내용으로는 생물정보학관련 주요 리뷰, 지놈염기서열분석 현황, 주요 저널 편집자 리스트 등이 있다. 이번 백서는 한국의 생물정보학 분야의 현황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국내 생물정보학 관련 연구기관과 설문참여자 및 관련부처에 배포될 예정이다. 생물학연구정보센터( http://bric.postech.ac.kr/ , BRIC)는 1996년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의 지원으로 포스텍에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생물학분야 연구정보 제공 웹사이트로 하루 2만 여명의 연구자들이 방문하고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DT20070051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